금융투자협회 펀드코드: BC692)
신 탁 계 약 서 |
▇▇베트남알파연금저축▇▇자투자신탁[▇▇] (금융투자협회 펀드코드: BC692) |
집합투자업자 : ▇▇자산▇▇㈜
신 탁 업 자 : ㈜국▇▇▇
▇▇베트남알파연금저축▇▇자투자신탁[▇▇]
(금융투자협회 펀드코드: BC692)
제1장 총칙
제1조(신탁계약의 목적 등)
① 이 신탁계약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이 정하는 바에 따라 투자신 탁의 ▇▇, 투자신▇▇▇의 ▇▇ 및 ▇▇를 함에 있어 집합투자업자인 ▇▇자산▇▇주식회사와 신탁 업자인 주식회사국▇▇▇이 ▇▇▇▇▇ 할 업무 등 필요한 사항과 수익자의 권리 및 ▇▇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2조 (투자신탁의 가입자격 등)
이 투자신탁은 소득세법 등 ▇▇법령에 의하여 수익자의 ▇▇생활을 ▇▇하기 위한 자금마련을 목적으 로 하는 연금저축투자신탁으로서, 이 투자신탁의 수익자는 소득세법 제20조의3 및 소득세법시행령 제40 조의2에 따른 “연금저축계좌”의 가입자에 한한다.
제2조(용어의 ▇▇)
이 신탁계약에서 ▇▇하는 용어의 ▇▇는 다음 ▇ ▇와 같다. 다만, 다음 ▇ ▇에서 정하지 아니하는 용 어에 관하여는 ▇▇법령과 ▇▇에서 정하는 바에 의한다.
1. “수익자”라 ▇▇ 이 투자신탁의 ▇▇▇▇을 ▇▇하는 자를 말한다.
2. “영업일”이라 함은 한국거래소의 개장일을 말한다.
3. “판매회사”라 ▇▇ 이 투자신탁의 ▇▇▇▇을 판매하는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를 말한 다.
4. “투자신탁”이라 함은 집합투자업자인 위탁자가 신탁업자에게 신탁한 ▇▇을 신탁업자로 하여금 그 집합투자업자의 지시에 따라 투자ᆞ▇▇하게 하는 신탁 ▇▇의 집합투자▇▇를 말한다.
5. “▇▇형”이라 함은 집합투자▇▇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여 ▇▇에 투자하는 집합투자▇▇를 말 한다.
6. “개방형”이라 함은 환매가 가능한 집합투자▇▇를 말한다.
7. “▇▇▇”이라 함은 추가로 자금 납입이 가능한 집합투자▇▇를 말한다.
8. “종류형”이라 함은 판매▇▇의 차이로 인하여 ▇▇가격이 다르거나 판매수수료가 다른 여러 종류 의 집합투자▇▇을 발행하는 집합투자▇▇를 말한다.
9. “▇▇▇”이라 함은 법 제233조의 ▇▇에 의한 다른 집합투자▇▇(모집합투자▇▇)가 발행하는 집 합투자증▇▇ 자집합투자▇▇가 취득하는 구조의 집합투자▇▇를 말한다.
제3조(투자신탁의 명칭 및 종류)
① 이 투자신탁은 ▇▇투자신탁으로서, 투자신탁의 명칭은 "▇▇베트남알파연금저축▇▇자투자신탁[▇ ▇]"이라 한다.
② 이 투자신탁은 다음 각 호의 ▇▇를 갖는 집합투자▇▇로 한다.
1. 투자신탁
2. ▇▇형(주식형)
3. 개방형
4. ▇▇▇
5. 종류형
6. ▇▇▇
③ 이 투자신탁은 종류형 집합투자▇▇로 종류는 다음 ▇ ▇와 같다.
1. Class C ▇▇▇▇ : 제1-2조 ▇▇에 따른 연금저축계좌 가입자로, 판매수수료가 징구되지 않는 ▇ ▇▇▇
2. Class C-e ▇▇▇▇ : 제1-2조 ▇▇에 따른 연금저축계좌 가입자로, 판매수수료가 징구되지 않는 온라인(On-line) 가입 전용 ▇▇▇▇
3. Class S-P ▇▇▇▇ : 집합투자▇▇에 ▇▇▇여 투자중개업 인가를 받은 회사(▇▇금융투자업자는 제외)가 개설한 온라인 판매시스템에 ▇▇으로 가입한 투자자 전용으로서, 제1-2조 ▇▇에 따른 연금저축계좌를 통하여 가입할 수 있으며 판매수수료가 징구되지 않는 ▇▇▇▇
➃ 이 투자신탁은 ▇▇▇투자신▇▇ 자투자신탁으로서 모투자신탁은 다음 ▇ ▇와 같다.
1. ▇▇베트남알파▇▇모투자신탁[▇▇]
제4조(집합투자업자 및 신탁업자의 업무)
①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탁의 ▇▇ᆞ▇▇, 투자신▇▇▇의 ▇▇ᆞ▇▇지시업무를 ▇▇한다.
② 신탁업자는 투자신▇▇▇을 ▇▇ 및 ▇▇하는 자로서 집합투자업자의 투자신▇▇▇ ▇▇지시에 따 른 자산의 취득 및 처분의 이행, ▇▇대금 및 이익금의 지급, 집합투자업자의 투자신▇▇▇ ▇▇지시 에 ▇▇ 감시업무, 투자신▇▇▇의 평가의 ▇▇▇ 및 ▇▇가격▇▇의 적정성 여부 등의 확인 업무를 ▇▇한다.
③ 투자신▇▇▇의 ▇▇지시에 관한 방법 및 절차, 각종 세금 및 공과금의 ▇▇▇무 기타 신탁업자의 신탁업무처리에 관한 사항 등으로서 이 신탁계약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법령과 ▇▇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 집합투자업자와 신탁업자 사이에 별도로 정할 수 있다. 다만, 이 신탁계 약과 위 ▇▇사이에 ▇▇하는 사항이 있는 ▇▇에는 이 신탁계약이 ▇▇▇다.
제4조의 2(해외▇▇대리인)
① 신탁업자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하기 위하여 집합투자업자와 협의하여 해외▇▇대리인을 ▇▇ 할수 있다.
1. 제17조의 투자신▇▇▇ 중 해외에 예탁한 자산의 안전한 ▇▇ 및 ▇▇
2. 제1호의 투자신▇▇▇에서 발생하는 ▇▇의 ▇▇
3. 제1호 및 제2호의 업무와 ▇▇된다고 신탁업자가 판단하는 업무
제5조(신탁계약의 효력 및 신탁계약기간)
① 이 신탁계약▇ ▇ 당사자가 ▇▇날인함으로써 즉시 효력이 발생한다.
② 수익자는 이 투자신탁의 ▇▇▇▇을 ▇▇한 때에 법령 및 이 신탁계약 등에서 ▇▇ 사항의 범위내 에서 이 신탁계약을 ▇▇한 것으로 본다.
③ 이 투자신탁의 계약기간은 투자신탁의 ▇▇▇▇▇부터 신탁계약의 해지일까지로 한다.
제6조(▇▇▇본의 가액 및 ▇▇▇▇의 총좌수)
이 투자신탁을 최초로 ▇▇▇는 때의 원본의 가액은 1좌당 1원을 ▇▇으로 제30조에서 ▇▇ ▇▇가격 (이하 "▇▇가격"이라 한다)을 적용하며, 설정할 수 있는 ▇▇의 ▇▇▇▇의 총 ▇▇는 10조좌로 한다.
제7조(추가신탁)
집합투자업자는 제6조의 ▇▇에 의한 ▇▇의 ▇▇▇▇의 총좌수의 범위 내에서 추가▇▇을 할 수 있으 며, 추가▇▇의 ▇▇ 및 ▇▇ 등은 집합투자업자가 결정하되, ▇▇ 절차는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
제8조(신탁금의 납입)
① 집합투자업자는 이 투자신탁을 최초로 ▇▇▇는 때에 제6조의 ▇▇▇본액에 해당하는 투자신탁금을 금전으로 신탁업자에 납입▇▇▇ 한다.
② 집합투자업자는 제7조의 ▇▇에 따라 이 투자신탁을 추가로 ▇▇▇는 때에는 추가투자신탁금을 금 전으로 신탁업자에 납입▇▇▇ 한다. 이 ▇▇ 추가투자신탁금은 추가▇▇▇는 날에 공고되는 당해 종류 ▇▇▇▇ ▇▇가격에 추가로 ▇▇▇는 ▇▇▇▇ ▇▇를 곱한 금액을 1,000으로 나눈 금액으로 한다.
③ 제2항의 ▇▇에 의한 추가투자신탁금 중 추가로 ▇▇▇는 당해 종류 ▇▇▇▇ ▇▇에 ▇▇▇▇시 공고된 ▇▇가격을 곱한 금액을 1,000으로 나눈 금액은 원본액으로, ▇▇ 또는 ▇▇에 상당하는 금 액은 ▇▇▇▇▇으로 처리한다.
제2장 ▇▇▇▇ 등
제9조(수익권의 분할)
① 이 투자신탁의 수익권은 1좌의 단위로 균등하게 분할하며, ▇▇▇▇으로 표시한다.
② 이 투자신탁의 수익자는 투자▇▇▇본의 ▇▇ 및 투자신▇▇▇의 분배 등에 관하여 ▇▇증▇▇ 종 류별로 ▇▇▇▇의 ▇▇에 따라 균등한 권리를 가지며, ▇▇▇이 다른 ▇▇에도 그 권리의 ▇▇에는 차이가 없다.
제10조(▇▇▇▇의 발행 및 전자등록)
① 집합투자업자는 제6조 및 제7조의 ▇▇에 의한 투자신탁의 ▇▇▇▇ 및 추가▇▇에 의한 ▇▇▇▇ 발행가액 전액이 납입된 ▇▇ 신탁업자의 확인을 받아 다음 각 호의 어느 ▇▇에 해당하는 기명식 ▇▇▇▇을 발행▇▇▇ 한다. 이 ▇▇ 집합투자업자는 「▇▇·▇▇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이하 “전자증권법”이라 한다)」에 따른 전자등록▇▇을 통하여 해당 ▇▇▇▇을 전자등록한다.
1. Class C ▇▇▇▇
2. Class C-e ▇▇▇▇
3. Class S-P ▇▇▇▇
② 판매회사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하여 전자증권법 제2조제3호가목에 따른 고객계좌부(이하 “▇ ▇▇▇고객계좌부”라 한다)를 작성ㆍ비치▇▇▇ 한다.
1. 고객의 ▇▇ 및 주소
2. ▇▇▇▇의 종류 및 수
③ <삭 제>
➃ ▇▇▇▇고객계좌부에 전자등록된 자는 해당 ▇▇▇▇에 대하여 적법한 권리를 가지는 것으로 ▇▇ 한다.
⑤ 제1항 각 호의 ▇▇▇▇ 이외의 다른 종류의 ▇▇▇▇을 추가하거나 ▇▇▇▇의 종류 ▇▇ 또는 특 정 종류의 ▇▇▇▇을 폐지하고자 하는 ▇▇에는 제43조제1항의 ▇▇을 적용한다.
제11조(예탁 ▇▇▇▇의 반환 등) <삭 제>
제12조(▇▇▇▇의 재교부) <삭 제>
제13조(▇▇▇▇의 양도)
① 수익권을 양도하고자 하는 ▇▇에는 전자증권법 제30조에 따른 계좌간 대체의 전자등록에 의▇▇▇ 하며, ▇▇▇▇고객계좌부에 전자등록된 자는 해당 ▇▇▇▇에 대하여 적법한 권리를 가지는 것으로 ▇▇▇다.
② ▇▇▇▇을 질권의 목적으로 하는 ▇▇에는 전자증권법 제31조에 따른 질권 ▇▇의 전자등록을 하 ▇▇ 입질의 효력이 발생한다.
③ 수익권의 이전은 집합투자업자가 정하는 절차에 따라 취득한 자가 그 ▇▇과 주소를 수익자명부에 ▇▇하지 아니하면 집합투자업자에게 ▇▇하지 못한다.
제14조(수익자명부)
① 집합투자업자는 수익자명부 작성에 관한 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 한다.
② 집합투자업자는 한국예탁결제원과 수익자명부 작성 등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고, 한국예탁결제원 은 ▇▇법령ᆞ신탁계약서ᆞ▇▇계약서 및 ▇▇▇▇ 등에 따라 업무를 처리▇▇▇ 한다.
③ 집합투자업자는 의결권을 행사하거나 이익금등을 받을 자, 기타 수익자 또는 질권자로서 권리를 행 사할 자를 정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수익자명부의 ▇▇▇▇을 ▇▇▇거나 일정한 날에 수익자명부에 기재된 수익자 또는 질권자를 그 권리를 행사할 수익자 또는 질권자로 볼 수 있다.
➃ 집합투자업자는 전항의 기간 또는 일정한 날을 ▇▇ ▇▇ 지체없이 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통지하 ▇▇ 한다.
⑤ 한국예탁결제▇▇ 제4항의 ▇▇에 따라 통보를 받은 ▇▇ 판매회사에 대하여 수익자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의 통보를 요청할 수 있다.
1. 수익자의 ▇▇, 주소 및 ▇▇▇편 주소
2. 수익자가 보유한 수익권의 종류 및 수
⑥ 제5항의 ▇▇에 따라 판매회사로부터 통보를 받은 한국예탁결제원은 그 통보받은 사항과 통보년월 일을 ▇▇한 수익자명부를 작성▇▇▇ 하며, 집합투자업자가 수익자명부 ▇▇사항의 통보를 ▇▇하 는 ▇▇ 수익자의 ▇▇과 수익권의 ▇▇를 통보▇▇▇ 한다.
⑦ <삭 제>
⑧ 집합투자업자가 제3항의 날을 ▇▇ ▇▇에는 상법 제354조제4항의 전단을 ▇▇한다. 다만, 다음 ▇ ▇에 의한 기준일을 ▇▇▇는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일부환매 결정에 의한 ▇▇▇산과 환매▇▇자산으로 분리를 위한 기준일을 ▇▇▇는 ▇▇
2. 수익자총회 합병▇▇에 따른 투자신탁의 합병기준일을 ▇▇▇는 ▇▇
3. 투자신▇▇▇에 따른 상환금지급을 위해 기준일을 ▇▇▇는 ▇▇
4. 투자신탁 ▇▇기간종료에 따른 ▇▇▇배금 지급을 위해 기준일을 ▇▇▇는 ▇▇
제3장 투자신▇▇▇의 ▇▇
제15조(자산▇▇지시 등)
①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을 ▇▇함에 있어 신탁업자에 대하여 투자신▇▇▇별로 투자▇▇자산 의 취득ᆞ처분 등에 관하여 필요한 지시를 ▇▇▇ 하며, 신탁업자는 집합투자업자의 지시에 따라 자 산의 취득ᆞ처분 등을 ▇▇▇ 한다. 다만,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의 효율적 ▇▇을 위하여 불 가피한 ▇▇로서 법 시행령 제79조제2항에 정하는 방법으로 투자▇▇자산을 ▇▇하는 ▇▇ 자신의 ▇▇로 직접 투자▇▇자산의 취득ᆞ처분 등을 할 수 있다.
② 집합투자업자 또는 신탁업자가 제1항에 따라 투자▇▇자산의 취득ᆞ처분 등을 한 ▇▇ 그 투자신탁 ▇▇으로 그 이행책임을 부담한다. 다만, 그 집합투자업자가 법 제64조제1항에 따라 ▇▇▇상책임을 지는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집합투자업자는 제1항 본문의 ▇▇에 의하여 지시를 하는 ▇▇ 전산시스템에 의하여 객관적이고 ▇ ▇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하여 지시를 ▇▇▇ 한다. 다만, 외국통화▇▇▇산 등 전산시스템 에 의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될 수 없는 해외자산의 ▇▇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➃ 집합투자업자는 제1항 단서에 따라 지시를 하는 ▇▇에는 투자신▇▇▇별로 ▇▇ 정▇▇▇ 자산배 분명세에 따라 취득ᆞ처분 등의 결과를 ▇▇▇게 배분하며, 자산배분▇▇, 취득ᆞ처분 등의 결과, 배 분결과 등에 관한 ▇▇ 및 서류를 작성하고 유지ᆞ▇▇▇▇▇ 한다.
제16조(투자목적)
이 투자신탁은 해외▇▇에 주로 투자하는 모투자신탁을 법 시행령 제94조제2▇▇4호에서 ▇▇하는 주 된 투자▇▇자산으로 하여 ▇▇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7조(투자▇▇자산 등)
①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을 다음 각 호의 투자▇▇(투자▇▇ 중 법 제4조에 따른 ▇▇에 대하여 는 그 ▇▇에 표시될 수 있거나 표시되어야 할 권리가 전자증권법에 따라 전자등록된 ▇▇ 해당 권 리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 및 투자방법으로 ▇▇한다.
1. 제3조제4▇▇1호의 모투자신탁 ▇▇▇▇(이하 "▇▇▇▇▇"이라고 한다)
2. 법 제5조제1항 및 제2항의 ▇▇에 의한 장내파생상품 및 법 제5조제1항 및 제3항의 ▇▇에 의 한 장외파생상품(다만, 위험회피 목적을 위한 ▇▇에 한한다) (이하 “파생상품”이라 한다)
3. 헤지목적으로 이루어지는 파생상품 ▇▇에 증거금으로 ▇▇하기 위한 ▇▇
4. 법 시행령 제268조 제4항의 ▇▇에 의한 신탁업자 ▇▇▇산과의 ▇▇
② 제1항의 ▇▇에 불구하고 집합투자업자는 환매를 원활하게 하고 투자▇▇자금을 효율적으로 ▇▇하 기 위하여 필요한 ▇▇ 다음 각 호의 방법으로 ▇▇할 수 있다.
1. 단기▇▇(법 시행령 제83조제3항의 금융▇▇에 ▇▇ 30일 이내의 금전의 대여를 말한다)
2. 금융▇▇에의 예치(▇▇ 1년 이내인 상품에 한한다)
3. 환매조건부▇▇(▇▇을 ▇▇기간 후에 환매도할 것을 조건으로 ▇▇하는 ▇▇를 말한다. 이하 같 다)
4. 제1호 내지 제3호에 준하는 외화▇▇▇산
제18조(투자▇▇자산 취득한도)
집합투자업자는 제17조의 ▇▇에 의하여 투자신▇▇▇을 ▇▇ 함에 있어 다음 ▇ ▇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따른다.
1. 제3조제4▇▇1호의 모투자신탁 ▇▇▇▇에의 투자는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100% 이하로 한다.
2. 파생상품에의 투자는 파생상품의 매매에 따른 위험평가액이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10% 이하가 되도록 한다.
3. 헤지목적으로 이루어지는 파생상품▇▇의 증거금 납입을 위한 ▇▇은 투자신▇▇▇의 5% 이하 로 한다.
4. 제17조제2항 ▇ ▇ 방법으로의 ▇▇은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10% 이하로 한다. 다만, 집합투자업 자가 수익자에게 최선의 ▇▇이 된다고 판단하는 ▇▇에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20% 이하의 범위 내에서 10%를 초과할 수 있다.
제19조(▇▇ 및 투자 제한)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을 ▇▇함에 있어 다음 ▇ ▇에 해당하는 행위를 신탁업자에게 지시할 수 없다. 다만, 법령 및 ▇▇에서 예외적으로 인정한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이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10%를 초과하여 법 시행령 제84조에서 정하는 집합투자업자의 ▇▇▇ 계인에게 다음 각 목의 방법으로 ▇▇하는 행위. 다만, 집합투자업자의 대주주나 ▇▇회사▇ ▇ ▇▇계인과는 다음 각 목의 방법으로 ▇▇할 수 없다.
가. 법 제83조제4항에 따른 단기▇▇
나. 환매조건부▇▇(▇▇을 ▇▇기간 후에 환매도할 것을 조건으로 ▇▇하는 ▇▇를 말한다)
2. 파생상품의 매매에 따른 위험평가액이 이 투자신탁의 자산총액에서 ▇▇총액을 뺀 가액의 100% 를 초과하여 투자하는 행위
3. 파생상품의 매매와 ▇▇하여 ▇▇자산 중 ▇▇법인 등이 발행한 ▇▇(그 법인 등이 발행한 ▇▇ 과 관련된 ▇▇예▇▇▇을 포함한다)의 가격변동으로 인한 위험평가액이 이 투자신탁 자산총액 의 10%를 초과하여 투자하는 행위
4. 같은 ▇▇상대방과의 장외파생상품 매매에 따른 ▇▇상대방 위험평가액이 이 투자신탁 자산총액 의 10%를 초과하여 투자하는 행위
5. 법 시행령 제80조제5항에서 정하는 적격 ▇▇을 갖추지 못한 자와 장외파생상품을 매매하는 행 위
제20조(한도 및 제한의 예외)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에 해당하는 ▇▇에는 제18조제1호, 제3호 및 제4호의 ▇▇은 그 투자한도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다만, 다음 제4호 및 제5호의 사유에 해당하는 ▇▇에는 투자비율을 위반한 날 부터 15일 이내에 그 투자한도에 적합▇▇▇ ▇▇▇ 한다.
1. 투자신탁 ▇▇▇▇▇부터 1월간
2. 투자신탁 ▇▇기간 종료일 이전 1월간 (▇▇기간이 3월 ▇▇▇ ▇▇에 한한다)
3. 투자신탁 계약기간 종료일 이전 1월간 (계약기간이 3월 ▇▇▇ ▇▇에 한한다)
4. 3영업일 ▇▇ 누적하여 추가▇▇ 또는 ▇▇▇▇가 각각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10%를 초과하는 ▇▇
5. 투자신▇▇▇▇ ▇투자신탁 ▇▇▇▇ 등 자산의 가격변동으로 제18조제1호, 제3호 및 제4호 의
▇▇을 위반하게 되는 ▇▇
② 다음 각 호의 어느 ▇▇에 해당하는 사유로 불가피하게 제18조제2호, 제19조제2호 내지 제4호에 따 른 투자한도를 초과하게 되는 ▇▇에는 초과일부터 3개월까지(부도 등으로 처분이 불가능하거나 현 저한 ▇▇을 ▇▇하지 아니하고는 처분이 불가능한 투자▇▇자산은 그 처분이 가능한 ▇▇까지)는 그 투자한도에 적합한 것으로 본다.
1. 투자신▇▇▇에 속하는 투자▇▇자산의 가격 변동
2. 투자신탁의 일부▇▇
3. 담보권의 실행 등 권리행사
4. 투자신▇▇▇에 속하는 ▇▇을 발행한 법인의 합병 또는 분할합병
5. 그 밖에 투자▇▇자산의 추가 취득 없이 투자한도를 초과하게 된 ▇▇
③ 제19조제2호 내지 제4호의 ▇▇ 및 법 제229조 ▇ ▇에 따른 투자비율은 투자신탁의 ▇▇▇▇▇부 터 1개월까지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제4장 투자신▇▇▇의 ▇▇ 및 ▇▇
제21조(신탁업자의 ▇▇▇의 ▇▇)
신탁업자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써 신▇▇▇을 ▇▇ㆍ▇▇▇▇▇ 하며, 수익자의 ▇▇을 ▇▇▇▇▇ 한다.
제22조(신탁업자의 업무제한 등)
① 신탁업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에 해당하는 자의 ▇▇회사여서는 아니된다.
1. 해당 집합투자▇▇
2. 그 신▇▇▇을 ▇▇하는 집합투자업자
② 신탁업자는 신▇▇▇을 자신의 ▇▇▇산, 다른 집합투자▇▇ 또는 제3자로부터 ▇▇을 ▇▇ 받은 재 산과 구분하여 ▇▇▇▇▇ 한다. 이 ▇▇ 집합투자▇▇이라는 사실과 위탁자를 ▇▇▇▇▇ 한다.
③ 신탁업자는 신▇▇▇ 중 ▇▇, 그 밖에 법 시행령 제268조제1항에 정하는 것을 자신의 ▇▇▇산과 구분하여 집합투자▇▇별로 한국예탁결제원에 예탁▇▇▇ 한다. 다만, 해당 ▇▇의 유통 가능성, 다 른 법령에 따른 유통방법이 있는지 여부, 예탁의 실행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법시행령 제268조제2항 에서 정하는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➃ 신탁업자는 집합투자업자가 그 신탁업자에 대하여 자산의 취득ㆍ처분 등의 이행 또는 ▇▇ᆞ▇▇ 등에 필요한 지시를 하는 ▇▇ 이를 각각의 집합투자▇▇별로 이행▇▇▇ 한다.
⑤ 신탁업자는 자신이 ▇▇ㆍ▇▇하는 집합투자▇▇을 자신의 ▇▇▇산, 다른 집합투자▇▇ 또는 ▇▇ 자로부터 ▇▇을 ▇▇받은 ▇▇과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집합투자▇▇을 효율적으로 ▇▇하 기 위하여 필요한 ▇▇로서 법 시행령 제268조제4항에서 정하는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⑥ 신탁업자는 자신이 ▇▇ㆍ▇▇하는 집합투자▇▇을 그 ▇▇▇계인의 ▇▇▇산과 ▇▇하여서는 아니 된다.
⑦ 신탁업자는 그 집합투자▇▇의 집합투자▇▇에 관한 ▇▇를 자기의 ▇▇▇산의 ▇▇, 자기가 ▇▇하 는 집합투자▇▇의 ▇▇ 또는 자기가 판매하는 집합투자▇▇의 판매를 위하여 ▇▇▇여서는 아니 된다.
제23조(▇▇행위 감시 ▇▇ 등)
① 신탁업자는 그 신▇▇▇을 ▇▇하는 집합투자업자의 ▇▇지시 또는 ▇▇행위가 법령, 신탁계약 또는 투자▇▇▇(▇▇투자▇▇▇ 및 간이투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조에서 같다) 등을 위반하였는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하고, 위반사항이 있는 ▇▇에는 집합투자업자에 대하여 그 ▇▇지시 또는 ▇▇ 행위의 ▇▇ㆍ▇▇ 또는 ▇▇을 ▇▇▇▇▇ 한다.
② 신탁업자는 집합투자업자가 제1항에 따른 ▇▇를 제3영업일 이내에 이행하지 아니하는 ▇▇에는 그 사실을 금융위원회에 보고▇▇▇ 하며 법 시행령 제269조제2항이 정하는 사항을 공시▇▇▇ 한다,
③ 집합투자업자는 제1항의 ▇▇에 대하여 금융위원회에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 이 ▇▇ ▇▇당사자는 금융위원회의 결정을 따라야 한다.
➃ 신탁업자는 집합투자▇▇과 ▇▇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확인▇▇▇ 한다,
1. 투자▇▇▇가 법령 및 신탁계약에 부합하는지 여부
2. 법 제88조제1항ㆍ제2항에 따른 자산▇▇보고서의 작성이 적정한지 여부
3. 법 제93조제2항에 따른 위험▇▇방법의 작성이 적정한지 여부
4. 법 제238조제1항에 따른 집합투자▇▇평가가 ▇▇▇지 여부
5. 법 제238조제6항에 따른 ▇▇가격의 ▇▇이 적정한지 여부
6. 제1항의 시▇▇▇ 등에 ▇▇ 집합투자업자의 이행▇▇
7. 그 밖에 투자자 ▇▇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서 법 시행령 제269조제4항에서 정하는 사항
⑤ 신탁업자는 제1항에 따른 ▇▇를 하거나 제2항에 따른 보고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 또는 제4항 각 호의 사항을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에는 집합투자업자에 대하여 관련된 자료의 ▇▇을 요 구할 수 있다. 이 ▇▇ 집합투자업자는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 한다.
제5장 ▇▇▇▇의 판매 및 환매
제24조(▇▇▇▇의 판매)
① 이 투자신탁의 집합투자업자는 본 ▇▇▇▇을 판매하기 위해 판매회사와 판매계약 또는 ▇▇판매계 약을 체결한다.
② 고객은 판매회사를 통하여 이 ▇▇▇▇을 취득할 수 있다.
③ 판매회사는 판매▇▇ 또는 판매수수료와 ▇▇하여 판매회사가 투자자에게 제공하는 용역 또는 서비 스에 관한 ▇▇이 기재된 자료를 제공하고 그 ▇▇을 ▇▇▇▇▇ 한다.
제25조(판매가격)
① ▇▇▇▇의 판매가격은 투자자가 이 ▇▇▇▇의 취득을 위하여 판매회사에 자금을 납입한 영업일의 다음 영업일에 공고되는 당해 종류 ▇▇▇▇의 ▇▇가격(▇▇ 종류 ▇▇▇▇을 발행하는 때 또는 특 정 종류의 ▇▇▇▇이 전부 환매된 후 다시 발행하는 때에는 제30조제2항을 ▇▇한다)으로 하며, 이 ▇▇ 영업일의 산▇▇ 제2조제2호의 ▇▇에도 불구하고 판매회사의 영업일[다만, 토요일은 제외한다] 로 한다. 다만, 이 투자신탁을 최초로 ▇▇▇는 때에는 투자신탁 ▇▇▇▇▇에 공고되는 ▇▇가격으 로 한다.
② 제1항 본문의 ▇▇에 불구하고 투자자가 17시 경과 후에 자금을 납입한 ▇▇ ▇▇▇▇의 판매가격 은 자금을 납입한 영업일부터 제3영업일에 공고되는 당해 종류 ▇▇▇▇(▇▇ 종류 ▇▇▇▇을 발행 하는 때 또는 특정 종류의 ▇▇▇▇이 전부 환매된 후 다시 발행되는 때에는 제30조제2항을 ▇▇한 다)의 ▇▇가격으로 한다.
제25조의2(모투자신탁 ▇▇▇▇의 ▇▇)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자가 이 투자신탁 ▇▇▇▇의 취득을 위하여 판매회사에 자금을 납입한 ▇▇ ▇▇ ▇▇▇▇▇ 할 특별한 사유가 없는 ▇ ▇투자신탁 ▇▇▇▇의 ▇▇를 ▇▇▇▇▇ 한다.
제26조(▇▇▇▇의 환매)
① 수익자는 언제든지 ▇▇▇▇의 환매를 ▇▇할 수 있다.
② 수익자가 ▇▇▇▇의 환매를 ▇▇하고자 하는 ▇▇에는 ▇▇▇▇을 판매한 판매회사에 ▇▇▇▇▇ 한다. 다만, 판매회사가 ▇▇, 인가취소, 업무정지 등 법령에서 정하는 사유(이하 “▇▇ 등”이라 한다) 로 인하여 환매▇▇에 응할 수 없는 ▇▇에는 법 ▇▇규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집합투자업자에게 직접 ▇▇할 수 있으며, 집합투자업자가 ▇▇ 등으로 인하여 환매에 응할 수 없는 ▇▇에는 신탁업 자에 직접 ▇▇할 수 있다.
③ 제2항 본문의 ▇▇에 의하여 수익자로부터 ▇▇▇▇의 환매▇▇를 받은 판매회사는 지체없이 집합 투자업자에게 환매에 응할 것을 ▇▇▇▇▇ 한다.
➃ <삭 제>
⑤ <삭 제>
⑥ <삭 제>
제26조의2(모투자신탁 ▇▇▇▇의 환매▇▇)
집합투자업자는 수익자가 이 투자신탁 ▇▇▇▇의 환매를 ▇▇한 ▇▇ 모투자신탁 ▇▇▇▇의 환매대금 으로 환매에 응하지 않을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수익자가 환매를 ▇▇한 날에 모투자신탁 ▇▇▇▇의 환매를 ▇▇▇▇▇ 한다. 다만, 이 투자신탁이 보유중인 금전 등으로 환매에 충분히 응할 수 있는 경우 에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제27조(환매가격 및 환매방법)
① 수익증권의 환매가격은 수익자가 판매회사에 환매를 청구한 날부터 제5영업일(17시 경과 후에 환매 청구시 제6영업일)에 공고되는 당해 종류 수익증권의 기준가격으로 한다. 다만, 환매청구일이 한국거 래소의 개장일이 아닌 경우에는 제2조제2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그 환매청구일을 영업일에 포함하 여 산정한다.
② 제26조의 규정에 따라 환매청구를 받거나 환매에 응할 것을 요구받은 집합투자업자(집합투자재산을 보관ᆞ관리하는 신탁업자를 포함한다)는 수익자가 환매를 청구한 날부터 제9영업일(17시 경과 후에 환매청구시 제10영업일)에 판매회사를 경유하여 수익자에게 환매대금을 지급한다.
③ 판매회사(제26조제2항 단서의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집합투자업자 또는 신탁업자를 말한다) 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집합투자업자 또는 신탁업자로부터 지급받은 환매대금에서 환매수수료 및 관련세금 등을 공제한 금액을 수익자에게 지급한다.
➃ 환매대금은 투자신탁재산으로 보유중인 금전 또는 투자신탁재산을 매각하여 조성한 금전으로 지급 한다. 다만, 이 투자신탁 수익자 전원의 동의를 얻은 경우에는 이 투자신탁재산으로 지급할 수 있다. 다만, 이 투자신탁 수익자 전원의 동의 및 이 투자신탁이 투자한 모투자신탁의 다른 자투자신탁 전 원의 동의를 얻은 경우에는 이 투자신탁이 투자한 모투자신탁의 투자신탁재산으로 지급할 수 있다.
제28조(환매연기)
① 제26조에 따라 수익증권의 환매에 응하여야 하는 집합투자업자(신탁업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 서 같다)는 투자신탁재산인 자산의 처분이 불가능한 경우 등 법시행령 제256조에서 정하는 사유로 인하여 환매일에 수익증권을 환매할 수 없게 된 경우 그 수익증권의 환매를 연기할 수 있다. 또한, 이 투자신탁이 투자한 모투자신탁의 환매가 연기된 경우에도 환매를 연기할 수 있다. 이 경우 집합 투자업자는 환매를 연기한 날부터 6주 이내에 수익자총회에서 수익증권의 환매에 관한 사항으로서 법시행령 제257조제1항에서 정하는 사항을 결의하여야 한다.
② 집합투자업자는 수익자총회에서 수익증권의 환매에 관한 사항을 정하지 아니하거나 환매에 관하여 정한 사항의 실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계속하여 환매를 연기할 수 있다.
③ 수익자총회에서 환매에 관한 사항이 결의되거나 환매를 계속 연기하는 경우 집합투자업자는 지체없 이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정한 사항을 수익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1. 수익자총회에서 환매에 관한 사항을 결의한 경우 가. 환매에 관하여 결의한 사항
나. 기타 법 시행령 제257조제2항에서 정한 사항
2. 환매연기를 계속하는 경우 가. 환매를 연기하는 사유 나. 환매를 연기하는 기간
다. 환매를 재개하는 경우 환매대금의 지급방법 라. 기타 법 시행령 제257조제3항에서 정한 사항
➃ 환매연기사유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해소되어 환매를 재개할 수 있을 경우 집합투자업자는 환매가 연 기된 수익자에 대하여 환매한다는 뜻을 통지하고 법 시행령 제258조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환매대 금을 지급한다.
⑤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탁재산의 일부가 제1항에 의한 환매연기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환매연기자산 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자산(이하 “정상자산”이라 한다)에 대하여는 수익자가 소유하고 있는 수익증권 의 지분에 따라 환매에 응할 수 있다.
⑥ 집합투자업자는 제5항에 따라 환매가 연기된 투자신탁재산만으로 별도의 투자신탁을 설정할 수 있 다.
⑦ 집합투자업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26조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환매청 구에 응하지 아니할 수 있다.
1. 수익자 또는 질권자로서 권리를 행사할 자를 정하기 위하여 일정한 날을 정하여 수익자명부에 기재된 수익자 또는 질권자를 그 권리를 행사할 수익자 또는 질권자로 보도록 한 경우로서 이 일정한 날의 7영업일 전일 (17시 경과 후에 환매청구를 한 경우 8영업일 전일)과 그 권리를 행 사할 날까지의 사이에 환매청구를 한 경우
2. 법령 또는 법령에 의한 명령에 의하여 환매가 제한되는 경우
제6장 투자신탁재산 평가 및 회계
제29조(투자신탁재산 평가)
① 집합투자업자는 법 제238조제1항에 따라 투자신탁재산을 시가에 따라 평가하되, 평가일 현재 신뢰할 만한 시가가 없는 경우 공정가액으로 평가하여야 한다.
② 집합투자업자는 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재산의 평가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법 제238조제2항에서 정 하는 집합투자재산평가위원회를 구성ㆍ운영하여야 한다.
③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탁재산에 대한 평가가 공정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탁업자의 확 인을 받아 법 제238조제3항에서 정하는 집합투자재산의 평가와 절차에 관한 기준(이하 이조에서 “집 합투자재산평가기준”이라 한다)을 마련하여야 한다.
➃ 집합투자업자는 제2항에 따른 집합투자재산평가평가위원회가 투자신탁재산을 평가한 경우 그 평가 명세를 지체없이 신탁업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⑤ 신탁업자는 집합투자업자의 투자신탁재산의 평가가 법령 및 집합투자재산평가기준에 따라 공정하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제30조(기준가격 산정 및 공고)
① 집합투자업자는 제29조의 규정에 따른 투자신탁재산의 평가결과에 따라 기준가격을 산정한다. 기준 가격[당해 종류 수익증권의 기준가격]은 제2항의 기준가격의 공고ㆍ게시일 전날의 대차대조표상에 계상된 투자신탁[당해 종류 수익증권의 상당액]의 자산총액에서 부채총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순자 산총액[당해 종류 수익증권의 순자산총액]"이라 한다)을 그 공고ㆍ게시일 전날의 수익증권[당해 종류 수익증권] 총좌수로 나누어 산정하며, 1,000좌 단위로 원미만 셋째자리에서 4사5입하여 원미만 둘째 자리까지 계산하여 공고한다.
② 집합투자업자는 제1항에 따라 산정된 기준가격(모투자신탁의 기준가격 포함)을 매일 공고ㆍ게시하되, 투자신탁을 최초로 설정하는 날(신규 종류 수익증권을 발행하는 날 또는 특정 종류의 수익증권이 전 부 환매된 후 다시 발행하는 날)의 기준가격은 1좌를 1원으로 하여 1,000원으로 공고한다. 다만, 수 익자가 없는 종류 수익증권의 기준가격은 산정ㆍ공지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③ 집합투자업자는 기준가격 산정업무를 일반사무관리회사에 위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수수료는 이 투자신탁재산에서 부담한다.
제31조(투자신탁의 회계기간)
이 투자신탁의 회계기간은 투자신탁의 최초설정일부터 매 1년간으로 한다. 다만, 신탁계약 해지시에는 투자신탁회계기간 초일부터 신탁계약의 해지일까지로 한다.
제32조(투자신탁의 회계감사)
① 집합투자업자는 이 투자신탁의 결산기마다 다음 각 호의 서류 및 부속서류를 작성하여야 한다.
1. 대차대조표
2. 손익계산서
3. 자산운용보고서
② 집합투자업자는 다음 각 호의 날부터 2개월 이내에 이 투자신탁재산에 대한 제1항의 결산서류를 작 성하여 회계감사인의 회계감사를 받아야 한다. 다만, 법 시행령 제264조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 하는 경우에는 회계감사인의 회계감사를 받지 아니한다.
1. 회계기간의 말일
2. 투자신탁계약기간의 종료 또는 해지의 경우 그 종료일 또는 해지일
③ 회계감사인의 회계감사는 비용문제 등을 포함한 회계처리가 당해 종류별 수익권과 이 투자신탁의 전체 수익권의 이익을 합리적으로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제33조(이익분배)
① 집합투자업자는 이 투자신탁재산의 운용에 따라 발생한 당해 종류 수익증권별 이익금을 투자신탁회
계기간 종료일 익영업일에 분배한다. 다만, 법 제242조에 따른 이익금이 “0”보다 적은 경우에는 분배 를 유보한다.
② 집합투자업자는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이익금을 판매회사를 경유하여 수익자에게 현금 또는 새로이 발행되는 수익증권으로 분배한다.
③ 제1항에도 불구하고 집합투자업자는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이익금은 분배를 유보하며, 이익금이 ‘0’보다 적은 경우에도 분배를 유보한다.
1. 법 제238조에 따라 평가한 집합투자재산의 평가이익
2. 법 제240조제1항의 회계처리기준에 따른 집합투자재산의 매매이익
제34조(이익분배금에 의한 재투자)
① 수익자는 이익분배금에서 세액을 공제한 금액의 범위 내에서 분배금 지급일의 기준가격으로 당해 종류 수익증권을 매수할 수 있다.
② 이익분배금으로 수익증권을 매수하는 경우 집합투자업자는 당해 수익증권 매수금액의 납입이 완료 된 때에 제10조제1항의 방법으로 수익증권을 발행하여야 한다.
제35조(상환금등의 지급)
① 집합투자업자는 신탁계약기간이 종료되거나 투자신탁을 해지하는 경우 지체없이 신탁업자로 하여금 투자신탁원본의 상환금 및 이익금(이하 “상환금등”이라 한다)을 판매회사를 경유하여 수익자에게 지 급한다.
② 집합투자업자가 제45조의 규정에 따라 이 투자신탁을 해지하는 경우에는 이 투자신탁 수익자 전원 의 동의 및 이 투자신탁이 투자한 모투자신탁의 다른 자투자신탁 수익자 전원의 동의를 얻은 경우 에 이 투자신탁이 투자한 모투자신탁의 투자신탁재산인 자산으로 수익자에게 상환금등을 지급할 수 있다.
③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탁재산인 증권 등 자산의 매각지연 등의 사유로 인하여 상환금등의 지급이 곤란한 경우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하여 그 사실을 통지하여야 한다.
제36조(이익분배금 및 상환금등의 시효 등)
① 이익분배금 또는 상환금등을 수익자가 그 지급개시일(제33조 및 제35조의 규정에 따라 판매회사가 수익자에게 이익분배금 또는 상환금등을 지급하는 날을 말한다)부터 5년간 지급을 청구하지 아니한 때에는 판매회사가 취득할 수 있다.
② 신탁업자가 이익분배금 또는 상환금등을 판매회사에게 인도한 후에는 판매회사가 수익자에 대하여 그 지급에 대한 책임을 부담한다.
제7장 수익자총회
제37조(수익자총회)
① 이 투자신탁에는 전체 수익자로 구성되는 수익자총회를 두며, 수익자총회는 법령 또는 신탁계약 및 모투자신탁의 수익자총회 개최사유 중 이 투자신탁 수익자의 이해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 하여만 결의할 수 있다.
② 수익자총회는 투자신탁을 설정한 집합투자업자가 소집한다. 이 경우 수익자총회는 집합투자업자의 본점소재지 또는 이에 인접한 지역에 소집하여야 한다.
③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수익자총회의 의결을 요하는 경우로서 특정 종류의 수익증권 수익자에 대 하여만 이해관계가 있는 때에는 그 종류의 수익자로 구성되는 수익자총회를 개최할 수 있다.
➃ 투자신탁을 설정한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탁재산을 보관ㆍ관리하는 신탁업자 또는 발행된 수익증권 의 총좌수의 100분의 5 이상을 소유한 수익자가 수익자총회의 목적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제출하여 수익자총회의 소집을 집합투자업자에 요청하는 경우 1개월 이내에 수익자총회를 소집하여 야 한다. 이 경우 집합투자업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수익자총회를 소집하기 위한 절차를 거치지 아 니하는 경우에는 그 신탁업자 또는 발행된 수익증권 총좌수의 100분의 5 이상을 소유한 수익자는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수익자총회를 개최할 수 있다.
⑤ 「상법」 제363조제1항 및 제2항은 수익자총회의 소집통지에 관하여 준용한다. 이 경우 “주주”는 각각 “수익자”로, “주주명부”는 “수익자명부”로, “회사”는 “집합투자업자”로 본다.
⑥ 수익자총회는 출석한 수익자의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된 수익증권 총좌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결의한다. 다만, 법에서 정한 수익자총회의 결의사항 외에 신탁계약으로 정한 수익자총회의 결의사항 에 대하여는 출석한 수익자의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된 수익증권의 총좌수의 5분의 1 이상의 수로 결의할 수 있다.
⑦ 수익자는 법 제190조제6항 및 법 시행령 제221조에 의하여 수익자총회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 수익자총회에 출석한 수익자가 소유한 수익증권의 총좌수의 결의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의결권을 행사 (이하 이 항에서 “간주의결권행사”라 한다)한 것으로 본다.
1. 수익자에게 법시행령 제221조제6항의 방법에 따라 의결권 행사에 관한 통지가 있었으나 의결권 이 행사되지 아니하였을 것
2. 간주의결권행사의 방법이 집합투자규약에 기재되어 있을 것
3. 수익자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한 수익증권의 총좌수가 발행된 수익증권의 총좌수의 10분의 1이 상일 것
4. 그 밖에 수익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법시행령 제221조제7항에서 정하는 방법 및 절차를 따를 것
⑧ 투자신탁을 설정한 집합투자업자(제4항 후단에 따라 수익자총회를 소집하는 신탁업자 또는 발행된 수익증권 총좌수의 100분의 5 이상을 소유한 수익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는 제6항에 따른 수익자총회의 결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한 경우 그 날부터 2주 이내에 연기된 수익자총회(이하 “연기수익자총회”라 한다)를 소집하여야 한다.
⑨ 연기수익자총회의 결의에 관하여는 제6항 및 제7항을 준용한다. 이 경우 “발행된 수익증권 총좌수의 4분의 1 이상”은 “발행된 수익증권 총좌수의 8분의 1 이상”으로 보고, “수익증권의 총좌수의 5분의
1 이상”은 “수익증권의 총좌수의 10분의 1 이상”으로 본다.
⑩ 제3항의 규정에 의한 수익자총회는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및 제9항의 규정을 준용함에 있어 “발행된 수익증권의 총좌수”는 “발행된 당해 종류 수익증권의 총좌수”로 본다.
⑪ 모투자신탁의 수익자총회가 개최되고 그 수익자총회의 목적이 이 투자신탁 수익자의 이해관계에 영 향을 미치는 경우 집합투자업자는 모투자신탁의 수익자총회와 동일한 시간 및 장소에서 이 투자신 탁의 수익자총회를 소집하여야 한다
⑫ 수익자총회와 관련하여 이 신탁계약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법 제190조에 따른다.
제38조(반대수익자의 매수청구권)
① 투자신탁의 수익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집합투자업자에게 수익증권의 수를 기재한 서면으로 자기가 소유하고 있는 수익증권의 매수를 청구할 수 있다.
1. 법 제188조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후단에 따른 신탁계약의 변경 또는 법 제193조제2항에 따른 투자신탁의 합병에 대한 수익자총회의 결의에 반대(수익자총회 전에 해당 집합투자업자에게 서 면으로 그 결의에 반대하는 의사를 통지한 경우로 한정한다)하는 수익자가 그 수익자총회의 결 의일부터 20일 이내에 수익증권의 매수를 청구하는 경우
2. 법 제193조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단서에 따른 투자신탁의 합병에 반대하는 수익자가 법 시행 령 제222조제1항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수익증권의 매수를 청구하는 경우
② 투자신탁을 설정한 집합투자업자는 제1항에 따른 청구가 있는 경우 해당 수익자에게 수익증권의 매 수에 따른 수수료, 그 밖의 비용을 부담시켜서는 아니 된다.
③ 투자신탁을 설정한 집합투자업자는 제1항에 따른 청구가 있는 경우에는 매수청구기간이 만료된 날 부터 15일 이내에 그 투자신탁재산으로 법 시행령 제222조제2항이 정하는 방법에 따라 그 수익증권 을 매수하여야 한다. 다만, 매수자금이 부족하여 매수에 응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수익증권의 매수를 연기할 수 있다.
➃ <삭 제>
제8장 보수 및 수수료 등
제39조(투자신탁보수)
① 투자신탁재산의 운용 및 관리 등에 대한 보수(이하 “투자신탁보수”라 한다)는 투자신탁이 부담하며, 그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집합투자업자가 취득하는 집합투자업자보수
2. 판매회사가 취득하는 판매회사보수
3. 신탁업자가 취득하는 신탁업자보수
4. 일반사무관리회사가 취득하는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
② 투자신탁보수의 계산기간(이하 “보수계산기간”이라 한다)은 최초 설정일로부터 매 3개월간으로 하며 보수계산기간 중 투자신탁보수를 매일 대차대조표상에 계상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경우가 발생하는 때에 집합투자업자의 지시에 따라 신탁업자가 투자신탁재산에서 인출한다.
1. 보수계산기간의 종료
2. 투자신탁의 일부해지(해지분에 상당하는 투자신탁보수 인출에 한한다)
3. 투자신탁의 전부해지
③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투자신탁보수는 당해 종류 수익증권별로 다음 각 호의 보수율에 당해 종류 수 익증권에 해당하는 투자신탁재산의 연평균가액(매일의 투자신탁 순자산총액을 연간 누적하여 합한 금액을 연간 일수로 나눈 금액)에 보수계산기간의 일수를 곱한 금액으로 한다.
1. Class C 수익증권
가. 집합투자업자보수율 : 연 1,000분의 6.60 나. 판매회사보수율 : 연 1,000분의 9.60
다. 신탁업자보수율 : 연 1,000분의 0.60 라.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 연 1,000분의 0.15
2. Class C-e 수익증권
가. 집합투자업자보수율 : 연 1,000분의 6.60 나. 판매회사보수율 : 연 1,000분의 4.80
다. 신탁업자보수율 : 연 1,000분의 0.60
라.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 연 1,000분의 0.15
3. Class S-P 수익증권
가. 집합투자업자보수율 : 연 1,000분의 6.60 나. 판매회사보수율 : 연 1,000분의 2.50
다. 신탁업자보수율 : 연 1,000분의 0.60 라.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율 : 연 1,000분의 0.15
제40조(판매수수료)
이 투자신탁은 수익증권 판매에 따른 판매수수료를 취득하지 아니한다.
제41조(환매수수료)
이 투자신탁은 수익자가 수익증권을 환매하는 경우 수익자에게 환매수수료를 부과하지 아니한다.
제42조(기타 운용비용 등)
① 투자신탁재산의 운용 등에 소요되는 비용은 전체 수익자의 부담으로 하며, 집합투자업자의 지시에 따라 신탁업자가 투자신탁재산에서 인출하여 지급한다. 다만, 특정 종류 수익증권의 수익자에 대하여 만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특정 종류 수익증권의 수익자에게만 비용을 부담시켜야 한다.
② 제1항에서 “전체 수익자의 부담으로 하는 비용”이라 함은 투자신탁재산과 관련된 다음 각 호의 비용 을 말한다.
1. 증권 등 자산의 매매수수료
2. 증권 등 자산의 예탁 및 결제비용
3. 투자신탁재산의 회계감사비용
4. 수익자명부 관리비용
5. 전체 수익자로 구성되는 수익자총회 관련비용
6. 투자신탁재산에 관한 소송비용
7. 증권 등 자산의 가격정보비용
8. 투자신탁재산의 운용에 필요한 지적재산권비용
9. 해외보관대리인 관련 비용
10. 기타 이에 준하는 비용으로 투자신탁재산의 운용 등에 소요되는 비용
③ 제1항 단서규정에서 “특정 종류 수익증권의 수익자에게 부담시키는 비용”이라 함은 당해 종류 수익 증권의 수익자에 대하여 이해관계가 있는 투자신탁재산과 관련된 다음 각 호의 비용을 말한다.
1. 특정 종류 수익증권의 수익자로 구성되는 수익자총회 관련비용
➃ 집합투자업자는 제 4 조의 2의 규정 및 이조 2항 9호에 의한 해외보관대리인에 대한 비용은 신탁업 자와 협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해외보관대리인에 대한 비용은 집합투자업자ㆍ신탁업자ㆍ해외 보관대리인간의 합의된 기일과 방법으로 지급한다.
제9장 신탁계약의 변경 및 해지
제43조(신탁계약의 변경)
① 집합투자업자는 신탁계약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신탁업자와 변경계약을 체결하여야 한다. 이 경우 신탁계약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미리 제37조의 규
정에 따라 수익자총회의 결의를 거쳐야 한다.
1. 집합투자업자ᆞ신탁업자 등이 받는 보수, 그 밖의 수수료의 인상
2. 신탁업자의 변경(제44조제3항 각 호의 경우는 제외한다)
3. 신탁계약기간의 변경(투자신탁을 설정할 당시에 그 기간변경이 신탁계약서에 명시되어 있는 경 우는 제외한다)
4. 그 밖에 수익자의 이익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으로서 법 시행령 제217조에서 정하는 사항
② 집합투자업자는 제1항에 따라 신탁계약을 변경한 경우에는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이용하여 공시하 여야 하며, 제1항 후단에 따라 신탁계약을 변경한 경우에는 공시 외에 이를 수익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③ 이 신탁계약에 규정된 사항 중 법령 등의 변경으로 그 적용이 의무화된 경우에는 그 변경된 바에 따른다.
➃ 수익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한 공시일(모투자신탁의 신탁계약 변경의 경우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공시 또는 통지된 날을 말한다)부터 1월 이내 판매회사에 이의신청서를 제출하고 수익증권의 환매를 청구할 수 있고, 이 경우 판매회사는 제41조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환매수수료를 받지 아니한다. 다 만, 제3항 및 신탁계약의 단순한 자구수정 등 경미한 사항을 변경하거나 법령 또는 금융감독원장의 명령에 따라 신탁계약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44조(집합투자업자 및 신탁업자의 변경)
① 이 투자신탁의 집합투자업자나 신탁업자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수익자총회 결의를 거쳐야 한다.
② 집합투자업자 변경의 경우에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 우에는 수익자총회 결의를 거치지 아니하고 변경할 수 있다.
1. 합병ㆍ분할ㆍ분할합병
2. 법 제420조제3항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금융위원회의 조치에 따라 집합투자업자가 변경되는 경 우
3.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10조제1항제6호부터 제8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금융위원 회의 명령에 따라 집합투자업자가 변경되는 경우
③ 신탁업자 변경의 경우에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는 수익자총회 결의를 거치지 아니하고 변경할 수 있다.
1. 합병ㆍ분할ㆍ분할합병
2. 영업양도 등으로 신탁계약의 전부가 이전되는 경우
3. 법 제184조제4항, 법 제246조제1항 등 관련 법령의 준수를 위하여 불가피하게 신탁계약의 일부 가 이전되는 경우
4. 법 제420조제3항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금융위원회의 조치에 따라 신탁업자가 변경되는 경우
5.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10조제1항제6호부터 제8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금융위원 회의 명령에 따라 신탁업자가 변경되는 경우
6. 법 시행령 제245조제5항에 따라 둘 이상의 집합투자기구의 자산을 다른 모집합투자기구로 이전 함에 따라 그 집합투자기구의 신탁업자가 변경되는 경우
제45조(투자신탁의 해지)
① 투자신탁을 설정한 집합투자업자는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투자신탁을 해지할 수 있다. 다만, 수 익자의 이익을 해할 우려가 없는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금융위원
회의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이 투자신탁을 해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집합투자업자는 그 해지사실 을 지체 없이 금융위원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1. 수익자 전원이 동의한 경우
2. 수익증권 전부에 대한 환매의 청구를 받아 신탁계약을 해지하려는 경우
3. 투자신탁을 설정한 후 1년이 되는 날에 투자신탁의 원본액이 50억원 미만인 경우
4. 투자신탁을 설정하고 1년이 지난 후 1개월간 계속하여 투자신탁의 원본액이 50억원 미만인 경우
② 투자신탁을 설정한 집합투자업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체 없이 투자신 탁을 해지하여야 한다. 이 경우 집합투자업자는 그 해지사실을 지체 없이 금융위원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1. 신탁계약에서 정한 신탁계약기간의 종료
2. 수익자총회의 투자신탁 해지 결의
3. 투자신탁의 피흡수합병
4. 투자신탁의 등록 취소
5. 수익자의 총수가 1인이 되는 경우. 다만, 건전한 거래질서를 해할 우려가 없는 경우로서 법 시행 령 제224조의2에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③ 제1항제2호의 규정에 따라 신탁계약을 해지하는 경우에는 제41조의 규정에 불구하고 환매수수료를 받지 아니한다.
➃ 제1항제3호 및 제4호의 규정에 의하여 이 투자신탁을 해지하고자 하는 경우 집합투자업자는 해지사 유, 해지일자, 상환금 등의 지급방법 및 기타 해지관련사항을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이용하여 공시하 거나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하여 수익자에게 개별통지하여야 한다.
⑤ 제1항제3호 및 제4호의 규정에 해당하는 경우 집합투자업자는 1개월 이내에 해지, 합병 및 모자형 전환, 존속 등 처리계획을 신탁업자와 협의하여 정한다.
⑥ 집합투자업자는 이 투자신탁을 최초로 설정한 후 6개월이 되는 날에 이 투자신탁의 모투자신탁 원 본액이 15억원 미만인 경우 집합투자업자가 운용하는 ‘유리글로벌거래소증권모투자신탁[주식]‘의 자 투자신탁으로 변경하는 조치를 취한다.
제46조(미수금 및 미지급금의 처리)
① 집합투자업자는 제45조에 따라 투자신탁을 해지하는 경우 미수금 채권이 있는 때에는 금융투자업자 규정 제7-11조제1항이 정하는 공정가액으로 투자신탁을 해지하는 날에 그 미수금 채권을 양수하여 야 한다. 다만, 그 미수금 채권을 법 시행령 제87조제1항제3호에 따라 거래하는 경우에는 그 거래에 의할 수 있다.
② 집합투자업자는 제45조에 따라 투자신탁을 해지하는 경우 미지급금 채무가 있는 때에는 제1항의 공 정가액으로 투자신탁을 해지하는 날에 그 미지급금 채무를 양수하여야 한다. 다만, 그 미지급금 채무 가 확정된 경우로서 법 시행령 제87조제1항제3호에 따라 거래하는 경우에는 그 거래에 의할 수 있 다.
제10장 보칙
제47조(투자신탁의 합병)
① 투자신탁을 설정한 집합투자업자는 그 집합투자업자가 운용하는 다른 투자신탁을 흡수하는 방법 등 으로 투자신탁을 합병할 수 있다.
② 투자신탁을 설정한 집합투자업자는 제1항에 따라 투자신탁을 합병하고자 하는 경우 법 제193조제2 항 각 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기재한 합병계획서를 작성하여 합병하는 각 투자신탁의 수익자총회의 결의를 거쳐야 한다. 다만, 건전한 거래질서를 해할 우려가 적은 소규모 투자신탁의 합병 등 법시행 령 제225조의2제1항에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③ 투자신탁의 합병과 관련하여 이 신탁계약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법 제193조에 따른다.
제48조(자기집합투자증권의 취득 제한 등)
①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탁의 계산으로 그 투자신탁의 수익증권을 취득하거나 질권의 목적으로 받지 못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투자신탁의 계산으로 그 투자신탁의 수 익증권을 취득할 수 있다.
1. 담보권의 실행 등 권리 행사에 필요한 경우
2. 제38조의 규정에 따라 수익증권을 매수하는 경우
② 집합투자업자는 제1항제1호 전단에 따라 취득한 수익증권을 취득일부터 1개월 이내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처분하여야 한다.
1. 전자증권법에 따른 말소의 전자등록
2. 판매회사를 통한 매도
제49조(금전차입 등의 제한)
①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에 있어서 투자신탁의 계산으로 금전을 차입하지 못한다. 다 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 투자신탁의 계산으로 금전을 차입할 수 있다.
1. 제26조에 따른 수익증권의 환매청구가 대량으로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환매대금의 지급이 곤란한 때
2. 제38조에 따른 매수청구가 대량으로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매수대금의 지급이 곤란한 때
② 제1항에 따라 투자신탁의 계산으로 금전을 차입하는 경우 그 차입금의 총액은 차입 당시 투자신탁 자산총액에서 부채총액을 뺀 가액의 100분의 10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제1항에 따른 금전차입의 방법, 차입금 상환 전 투자대상자산의 취득 제한 등은 관련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야 한다.
➃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탁재산 중 금전을 대여(제17조제2항제1호의 단기대출을 제외한다)하여서는 아 니된다.
⑤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에 있어서 투자신탁재산으로 이 투자신탁 외의 자를 위하여 채무보증 또는 담보제공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50조(공시 및 보고서 등)
① 집합투자업자, 신탁업자가 수익자에 대하여 일간신문에 공고를 하는 때에는 서울경제신문에 공고하 되, 2이상의 일간신문에 공고하는 때에는 헤럴드경제신문에도 공고한다.
② 집합투자업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항(모투자신탁의 경우를 포함한다)이 발생한 경우 이를 공시하여야 한다.
1. 투자운용인력의 변경이 있는 경우 그 사실과 변경된 투자운용인력의 운용경력(운용한 집합투자 기구의 명칭, 집합투자재산의 규모와 수익률을 말한다)
2. 환매연기 또는 환매재개의 결정 및 그 사유
3. 법 시행령 제93조제2항이 정하는 부실자산이 발생한 경우 그 명세 및 상각률
4. 수익자총회의 결의내용
5.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서 법 시행령 제93조제3항에서 정하는 사항
③ 제2항에 따른 수시공시는 다음 각 호의 방법으로 한다.
1. 집합투자업자, 수익증권을 판매한 판매회사 및 한국금융투자협회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공시하는 방법
2. 수익증권을 판매한 판매회사로 하여금 전자우편을 이용하여 수익자에게 알리는 방법
3. 집합투자업자, 수익증권을 판매한 판매회사의 본점과 지점, 그 밖의 영업소에 게시하는 방법
➃ 집합투자업자는 법 제119조에 의하여 공모의 방법으로 수익증권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법령에 따라 증권신고서, 정정신고서, 투자설명서, 간이투자설명서 및 발행실적보고서 등을 금융위원회를 통해 공 시하여야 하며, 투자설명서 및 간이투자설명서의 경우 법 제123조의 규정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제출 하고 법 시행규칙 제13조제1항 각 호의 장소에 비치하고 일반인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⑤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부터 매3개월마다 법 제88조에서 규정한 자산운용보고서(모 투자신탁의 경우를 포함한다)를 작성하여 수익자에게 교부하여야 한다. 다만, 수익자가 수시로 변동 되는 등 수익자의 이익을 해할 우려가 없는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1. 수익자가 자산운용보고서의 수령을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 전화ㆍ전신ㆍ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의 방법으로 표시한 경우
2. 수익자가 보유하고 있는 수익증권의 평가금액이 10만원 이하인 경우
⑥ 신탁업자는 법 제90조제2항 각호의 어느 하나의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2개월 이내에 법 제248조에 따른 자산보관ㆍ관리보고서(모투자신탁의 경우를 포함한다)를 작성하여 수익자에게 교부하여야 한다. 다만, 수익자가 수시로 변동되는 등 수익자의 이익을 해할 우려가 없는 경우로서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자산보관ㆍ관리보고서를 수익자에게 교부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⑦ 제5항 및 제6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익자에게 자산운용보고서, 자산보관ㆍ관리보고서를 교부하는 경 우에는 판매회사 또는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하여 직접 또는 전자우편의 방법으로 교부하여야 한다. 다만, 자산운용보고서를 교부하는 경우 수익자가 해당 집합투자기구에 투자한 금액이 100만원 이하 이거나 수익자에게 전자우편 주소가 없는 등의 경우에는 법 제89조제2항제1호의 방법에 따라 공시 하는 것으로 갈음할 수 있으며, 수익자가 우편발송을 원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야 하고, 자산보관ㆍ 관리보고서를 교부하는 경우 수익자에게 전자우편 주소가 없는 등의 경우에는 법 제89조제2항제1호 및 제3호의 방법에 따라 공시하는 것으로 갈음할 수 있으며, 수익자가 우편발송을 원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야 한다.
⑧ 집합투자업자는 법 제90조제1항에서 규정한 투자신탁재산에 관한 매 분기의 영업보고서를 작성하여 매분기 종료 후 2개월 이내에 금융위원회 및 한국금융투자협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⑨ 집합투자업자는 투자신탁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 그 사 유가 발생한 날부터 2개월 이내에 법 제239조에 따른 결산서류를 금융위원회 및 한국금융투자협회 에 제출하여야 한다.
1. 투자신탁의 회계기간 종료
2. 투자신탁의 계약기간 종료
3. 투자신탁의 해지
제51조(손해배상책임)
① 집합투자업자, 신탁업자는 법령ᆞ신탁계약ᆞ투자설명서에 위반하는 행위를 하거나 그 업무를 소홀히
하여 수익자에게 손해를 발생시킨 경우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② 이 투자신탁의 집합투자업자와 신탁업자는 판매회사ᆞ일반사무관리회사ᆞ집합투자기구평가회사(법 제258조에 따른 집합투자기구평가회사를 말한다) 및 채권평가회사(법 제263조에 따른 채권평가회사 를 말한다)와 함께 법에 따라 수익자에 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는 경우 귀책사유가 있는 경우 연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진다.
제52조(수익증권의 통장거래)
수익자는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제정한 “연금저축계좌설정약관”에 따라 통장거래 등을 할 수 있다.
제 52 조의 2(납입증명서 발급등)
판매회사는 관련법령 등에서 정하는 세제혜택을 위하여 수익자의 청구가 있는 때에는 연금저축납입증명 서(이하“납입증명서”라 한다)를 발급한다. 다만, 수익자가 가입자격위반 또는 투자한도초과 등 법령이 정 하는 가입요건의 흠결이 확인된 경우에 판매회사는 납입증명서를 발급하지 아니한다.
제53조(관련법령 등의 준용)
이 신탁계약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관련법령 및 규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제54조(관할법원)
① 집합투자업자, 신탁업자 또는 판매회사가 이 신탁계약에 관하여 소송을 제기한 때에는 소송을 제기 하는 자의 본점소재지를 관할하는 법원에 제기한다.
② 수익자가 소송을 제기하는 때에는 수익자의 선택에 따라 수익자의 주소지 또는 수익자가 거래하는 집합투자업자, 신탁업자 또는 판매회사의 영업점포 소재지를 관할하는 법원에 제기할 수 있다. 다만, 수익자가 외국환거래법 제3조제1항제15호의 규정에 의한 비거주자인 경우에는 수익자가 거래하는 집합투자업자, 신탁업자 또는 판매회사의 영업점포 소재지를 관할하는 법원에 제기하여야 한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신탁계약은 2016년 07월 02일부터 시행한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신탁계약은 2018년 01월 23일부터 시행한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신탁계약은 2019년 9월 25일부터 시행한다.
집합투자 업자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6길 17 유 리 자 산 운 용 주 식 회 사 | ||
대 표 이 사 | 조 우 철 ( 인 ) | ||
신 탁 업 자 : | 서 울 특 별 시 중 구 남 대 문 로 2 가 9 - 1 주 식 회 사 국 민 은 행 | ||
은 행 장 | 허 인 | ( 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