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연구직(일반연구)
O 연구직(일반▇▇)
2023년 2차 ▇▇▇ 및 실무직 공개▇▇ 모집분야(3단계 ▇▇▇(▇▇계약직) ▇▇ 포함)
No. | ▇▇번호 | 구분 | 직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직무▇▇▇▇ | ▇▇지역 | ▇▇ 전공 | ▇▇예▇▇▇ | 비고 |
1 | A2023-01 | ▇▇▇ | 연구직(일반▇▇) | 초지능 | 스스로 학습, 판단, ▇▇하는 복합인공지능▇▇▇▇ | 스스로 ▇▇을 학습, 확장하는 자율▇▇▇ 복합인공지능(언어 ‧▇▇) ▇▇ | ○ (▇▇지능) 컴퓨터 비전 기반 효율적인 딥러닝 학습 및 사전학습 모델 ▇▇ ○ (로봇 에이전트) 언어 및 ▇▇ 처리 기반 에이전트간 로봇 ▇▇지능 ▇▇ | 본원 (▇▇광역시) | 인공지능, 전자공학, 컴퓨터 공학, 전산학, 산업공학 등 ▇▇ 전공 | 2명 | |
2 | A2023-02 | ▇▇▇ | 연구직(일반▇▇) | 초지능 | 스스로 학습, 판단, ▇▇하는 복합인공지능▇▇▇▇ | 스스로 ▇▇을 학습, 확장하는 자율▇▇▇ 복합인공지능(언어 ‧▇▇) ▇▇ | ○ (음성지능) 음▇▇▇, 자연어처리 등 음성지능 및 ▇▇시스템 ▇▇ ○ (복합모달) Audio-Visual 등 멀티모달 기반 음▇▇▇ 및 ▇▇ ▇▇ ○ (▇▇학습) 음성/언어/▇▇지능 분야 최소 레이블 기반▇ ▇(비)지도학습, 전이학습, 메타학습 등 ▇▇학습 알고리즘 및 ▇▇ ▇▇ | 본원 (▇▇광역시) | 음성, 언어 및 ▇▇처리 등 전자전기/▇▇통신/컴퓨터 공학 등 ▇▇ 전공 | 2명 | |
3 | A2023-03 | ▇▇▇ | 연구직(일반▇▇) | 초지능 | 스스로 학습, 판단, ▇▇하는 복합인공지능▇▇▇▇ | 스스로 ▇▇을 학습, 확장하는 자율▇▇▇ 복합인공지능(언어 ‧▇▇) ▇▇ | ○ (추론/머신러닝) 멀티모달(언어/▇▇) ▇▇/▇▇ 추론 ▇▇ ○ (▇▇처리) 멀티모달 추론 기반 ▇▇ 딥러닝 모델 ▇▇ | 본원 (▇▇광역시) | 컴퓨터공학 등 ▇▇ 전공 | 1명 | |
4 | A2023-04 | ▇▇▇ | 연구직(일반▇▇) | 초지능 | 스스로 학습, 판단, ▇▇하는 복합인공지능▇▇▇▇ | 스스로 ▇▇을 학습, 확장하는 자율▇▇▇ 복합인공지능(언어 ‧▇▇) ▇▇ | ○ (언어 및 ▇▇ 사전학습) 언어 및 ▇▇ 지능이 결합된 멀티모달 사전학습 모델 ▇▇ | 본원 (▇▇광역시) | 인공지능, 전자공학, 컴퓨터 공학, 전산학, 산업공학 등 ▇▇ 전공 | 1명 | |
5 | A2023-05 | ▇▇▇ | 연구직(일반▇▇) | 초지능 | 스스로 학습, 판단, ▇▇하는 복합인공지능▇▇▇▇ | 스스로 분석 방법을 결정하고 복합 ▇▇를 적시에 처리하는 능동형 빅데이터 시스템 ▇▇ ▇▇ | ○ (데이터 허브) 복합인공지능 ▇▇의 기반이 되는 능동형 빅데이터 허브 시스템 개발 ○ (데이터셋 큐레이션) 인공지능을 ▇▇한 사용자 의도분석 기반 정확도가 높은 데이터셋 탐색엔진 개발 | 본원 (▇▇광역시) | 컴퓨터공학, 전자공학, ▇▇ 전자, 전산학 등 ▇▇ 전공 | 1명 | |
6 | A2023-06 | ▇▇▇ | 연구직(일반▇▇) | 초지능 | 인간과 자율지능시스템▇ ▇ 호작용이 가능한 자율지능공 존▇▇ ▇▇ | 혼재된 ▇▇에서 다양한 객체 의 의도와 ▇▇을 스스로 ▇▇ 하고 행동하는 자율이동체 지 능화 ▇▇ ▇▇ | ○ (▇▇▇▇) 3▇▇ 지도 작성 및 위치 ▇▇, 3▇▇ 객체 검출 및 추적 ▇▇ 개발 ○ (로봇▇▇) 혼잡한 ▇▇에서의 로봇 자율 ▇▇ ▇▇ ▇▇ | 본원 (▇▇광역시) | 컴퓨터공학, 전자공학, ▇▇ 공학, 로봇공학 등 ▇▇ 전공 | 1명 | |
7 | A2023-07 | ▇▇▇ | 연구직(일반▇▇) | 초지능 | 인간과 자율지능시스템▇ ▇ 호작용이 가능한 자율지능공 존▇▇ ▇▇ | 혼재된 ▇▇에서 다양한 객체 의 의도와 ▇▇을 스스로 ▇▇ 하고 행동하는 자율이동체 지 능화 ▇▇ ▇▇ | ○ (비행제어/▇▇제어 시스템) 드론용 Flight Control Computer, Mission Computer 분석 ▇▇ 및 드론용 ▇▇ 제어 ▇▇를 위한 SW 분석 및 개발 ○ (시스템/지능형 SW) DNA+드론을 위한 드론용 시스템 SW 플랫폼 ▇▇ 및 AI 기반 DNA+드론 비즈니스 모델 개발 | 본원 (▇▇광역시) | (비행제어/▇▇제어/드론통 신) ▇▇항공공학, 통신, 제 어계측공학, ▇▇▇공 등 ▇ ▇ 전공 (시스템/지능형SW) 컴퓨터 공학, 전산학, 전자, 인공지 능 등 ▇▇ 전공 | 1명 | |
8 | A2023-08 | ▇▇▇ | 연구직(일반▇▇) | 초지능 | 인간과 자율지능시스템▇ ▇ 호작용이 가능한 자율지능공 존▇▇ ▇▇ | 혼재된 ▇▇에서 다양한 객체 의 의도와 ▇▇을 스스로 ▇▇ 하고 행동하는 자율이동체 지 능화 ▇▇ ▇▇ | ○ (자율비행) ▇▇자율비행을 위한 주변 ▇▇과 스스로의 ▇▇를 ▇▇하여 자율적인 판단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SLAM ▇▇ ▇▇ ○ (인공지능 자율비행) 자율비행의 핵심 기술인 pose estimation의 인공지능 신경망 대체 ▇▇ ▇▇ ○ (인공지능 객체탐지) 숲속과 같은 복잡▇▇에서 ▇▇이 많은 객체 탐지 ▇▇ ▇▇ | 본원 (▇▇광역시) | ▇▇항공, 항▇▇▇, 전자전 기공학, 컴퓨터공학, 전산 등 ▇▇ 전공 | 1명 | |
9 | A2023-09 | ▇▇▇ | 연구직(일반▇▇) | 초지능 | 인간과 자율지능시스템▇ ▇ 호작용이 가능한 자율지능공 존▇▇ ▇▇ | 인간의 신체·▇▇·감각 능력을 ▇▇시켜 건강한 삶을 제공하 기 위한 휴먼▇▇ ▇▇ ▇▇ | ○ (HCI) 디지털 시스템과 사람의 ▇▇작용 개선 및 사용자 경험 증진을 위한 ▇▇ ▇▇ ○ (인공지능) 딥러닝 ▇▇을 ▇▇한 상▇▇▇ ▇▇ ▇▇ | 본원 (▇▇광역시) | 컴퓨터공학, ▇▇통신공학, 산업공학, 산업디자인, 전자 공학 등 ▇▇ 전공 | 1명 | |
10 | A2023-10 | ▇▇▇ | 연구직(일반▇▇) | 초지능 | 인간과 자율지능시스템▇ ▇ 호작용이 가능한 자율지능공 존▇▇ ▇▇ | 인간의 신체·▇▇·감각 능력을 ▇▇시켜 건강한 삶을 제공하 기 위한 휴먼▇▇ ▇▇ ▇▇ | ○ (▇▇인장 하이브리드 센서 플랫폼) 대면적 ▇▇인장 센서 기판 플랫폼 및 ▇▇센서 집적 설계/▇▇/평가 ▇▇ ○ (▇▇센싱 ▇▇처리 및 지능형 AI 알고리즘) ▇▇센싱 ▇▇처리 회로 ▇▇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 의도 ▇▇, 판단, 피드백 제어 ▇▇ ▇▇ | 본원 (▇▇광역시) | 전자공학, 반도체/나노공학, ▇▇공학, ▇▇▇공학, 물리 학 등 ▇▇ 전공 | 1명 |
No. | ▇▇번호 | 구분 | 직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직무▇▇▇▇ | ▇▇지역 | ▇▇ 전공 | ▇▇예▇▇▇ | 비고 |
11 | A2023-11 | ▇▇▇ | 연구직(일반▇▇) | 초성능 | 인공지능 처리성능 ▇▇를 ▇ ▇하는 고성능컴퓨팅▇▇ ▇ ▇ | 지능▇▇ 데이터 고속처리를 위한 메모리 ▇▇ 컴퓨팅 ▇▇ ▇▇ | ○ (슈퍼컴퓨터) 초▇▇ 프로세서 기반 고집적 컴퓨팅 노드 및 시스템 ▇▇ - 고성능 시스템반도체(SoC) 구조 설계 및 개발 - 고속▇▇ 하드웨어 레이어 (HAL) 인터페이스 및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 본원 (▇▇광역시) | 반도체 설계, 컴퓨터▇▇텍 처, 전자 전공 등 ▇▇ 전공 | 1명 | |
12 | A2023-12 | ▇▇▇ | 연구직(일반▇▇) | 초성능 | 인공지능 처리성능 ▇▇를 ▇ ▇하는 고성능컴퓨팅▇▇ ▇ ▇ | 지능▇▇ 데이터 고속처리를 위한 메모리 ▇▇ 컴퓨팅 ▇▇ ▇▇ | ○ (고성능 AI컴퓨팅) 거대 AI모델 학습용 컴퓨팅 시스템의 고성능화, 고효율화를 위한 컴퓨팅 HW, 운영체제, 시스템SW, 미들웨어, 라이브러리, AI 모델 최적화 ▇▇ | 본원 (▇▇광역시) | 컴퓨터공학 전공 등 ▇▇ 전 공 | 1명 | |
13 | A2023-13 | ▇▇▇ | 연구직(일반▇▇) | 초성능 | 인공지능 처리성능 ▇▇를 ▇ ▇하는 고성능컴퓨팅▇▇ ▇ ▇ | 지능▇▇ 데이터 고속처리를 위한 메모리 ▇▇ 컴퓨팅 ▇▇ ▇▇ | ○ (AI ▇▇ 가속 컴퓨팅 구조 ▇▇개발) -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기반 아날로그·디지털 AI ▇▇ 가속기 장치 구조 - AI ▇▇ 가속기 ▇▇장치 간 고대역폭·저▇▇ 연결망 ○ (AI ▇▇ 가속 시스템SW ▇▇개발) - 아날로그·디지털 PIM 가속기에서의 거대 AI 모델 추론·학습 성능 최적화 - 아날로그 PIM ▇▇정확도 보장 메모리 ▇▇ ※ PIM: Processing In Memory | 본원 (▇▇광역시) | 전산학, 컴퓨터과학, 컴퓨터 공학 등 ▇▇ 전공 | 1명 | |
14 | A2023-14 | ▇▇▇ | 연구직(일반▇▇) | 초성능 | 인공지능 처리성능 ▇▇를 ▇ ▇하는 고성능컴퓨팅▇▇ ▇ ▇ | 자원제약 ▇▇에서 높은 복잡 도를 ▇▇ 인공지능 ▇▇▇ ▇ 능 ▇▇를 해결하는 임베디드 지능화 컴퓨팅 ▇▇ ▇▇ | ○ (대규모 시뮬레이션) 자율소프트슈트 ▇▇지능의 데이터 부족 ▇▇ ▇▇ 위한 대규모 인체동역학 시뮬레이션 및 고성능컴퓨팅 ▇▇ ▇▇ ○ (데이터 기반 시뮬레이션) 다양한 사용자를 위한 데이터 기반 시뮬레이션 및 시뮬레이션 모델 신뢰성 향상 ▇▇ | 본원 (▇▇광역시) | 컴퓨터공학, 제어계측공학, ▇▇로봇인체공학, 산업공 학, ▇▇통신공학 등 ▇▇ 전 공 | 1명 | |
15 | A2023-15 | ▇▇▇ | 연구직(일반▇▇) | 초성능 | 컴퓨팅의 파괴적 ▇▇을 위한 인공지능 프로세서 및 ▇▇컴 퓨팅 ▇▇▇술 | 초▇▇ 나노코어구조 초고속 저전력 인공지능 뉴로모픽 프 로세서 개발 | ○ (반도체, 컴퓨터 아키텍처, 시스템 SW) 인공지능 프로세서 반도체 설계 ▇▇, 또는 인▇▇▇망 최적화 컴파일러 등 시스템 SW ▇▇ 등 인공지능 컴퓨팅을 위한 반도체, 컴퓨터 아키텍처, SW 등 개발 | 본원 (▇▇광역시) | 전자공학, 반도체, 전산학 등 ▇▇ 전공 | 2명 | |
16 | A2023-16 | ▇▇▇ | 연구직(일반▇▇) | 초성능 | 컴퓨팅의 파괴적 ▇▇을 위한 인공지능 프로세서 및 ▇▇컴 퓨팅 ▇▇▇술 | 초▇▇ 나노코어구조 초고속 저전력 인공지능 뉴로모픽 프 로세서 개발 | ○ (코드 생성 인공지능 및 프로그램 합성) 자연어에서 프로그램 코드 생성을 위한 거대 인▇▇▇망, 프로그램 합성, 소프트웨어 공학 등의 ▇▇ ▇▇ ▇▇ ○ (코드 생성 인공지능을 위한 컴퓨팅 SW) 코드 생성 모델 등 거대 모델 ▇▇ 시스템 SW ▇▇ | 본원 (▇▇광역시) |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등 ▇ ▇ 전공 | 1명 | |
17 | A2023-17 | ▇▇▇ | 연구직(일반▇▇) | 초성능 | 컴퓨팅의 파괴적 ▇▇을 위한 인공지능 프로세서 및 ▇▇컴 퓨팅 ▇▇▇술 | 초▇▇ 나노코어구조 초고속 저전력 인공지능 뉴로모픽 프 로세서 개발 | ○ (뉴로모픽 프로세서 설계) 스파이크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간 뇌의 뉴런과 시냅스 동작을 모사한 차세대 인공지능 프로세서 설계 - 뉴로모픽 프로세서 및 아날로그-디지털 혼성 회로 프로세서 및 인터커넥션 개발 - SNN 기반 온-오프라인 학습 알고리즘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 ○ (지능형 레이다 설계) ▇▇탐지용 지능형 레이다 ▇▇처리 및 RF/Analog 칩 설계 - 레이다 ▇▇처리 (FMCW, CW, IRUWB, Waveform 등), 코히런트 파라미터 ▇▇ 및 합성 ▇▇, 분산레이더 요소 ▇▇ 개발 등 - 레이더 탑재용 RF/Analogy 반도체를 위한 ▇▇▇부, FMCW/IR-UWB/Coded Orthogonal Waveform 생성부, 제어 인터페이스, 접합 및 위상▇▇ 빔포밍 테스트 ▇▇ 개발 등 | 본원 (▇▇광역시) | 전자공학, 전파공학 등 ▇▇ 전공 | 1명 | |
18 | A2023-18 | ▇▇▇ | 연구직(일반▇▇) | 초성능 | 컴퓨팅의 파괴적 ▇▇을 위한 인공지능 프로세서 및 ▇▇컴 퓨팅 ▇▇▇술 | 초▇▇ 나노코어구조 초고속 저전력 인공지능 뉴로모픽 프 로세서 개발 | ○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실리콘 CMOS ▇▇ 및 ▇▇ ▇▇ ○ (뉴로모픽 AI 반도체) SNN 등 차세대 뉴로모픽 AI 반도체 ▇▇ 및 회로 ▇▇ ○ (PIM) 초▇▇ process in memory 반도체 ▇▇ 및 회로 ▇▇ | 본원 (▇▇광역시) | 전기/전자공학, 금속/재료공 학, 반도체 공학, 물리학 등 반도체 ▇▇ 전공 | 1명 | |
19 | A2023-19 | ▇▇▇ | 연구직(일반▇▇) | 초성능 | 컴퓨팅의 파괴적 ▇▇을 위한 인공지능 프로세서 및 ▇▇컴 퓨팅 ▇▇▇술 | 큐빗 확장 및 고신뢰 ▇▇을 ▇▇하는 ▇▇컴퓨팅 ▇▇ ▇ ▇ | ○ (▇▇컴퓨팅 큐비트 플랫폼) ▇▇ 큐비트 설계, 제작, 성능평가 ▇▇ ○ (▇▇컴퓨팅 시스템) 시스템 ▇▇ HW 설계, 제작, 성능평가 ▇▇ | 본원 (▇▇광역시) | 물리학, 전자공학, 컴퓨터공 학, 재료공학, ▇▇공학, 반도 체공학 등 ▇▇ 전공 | 1명 | |
20 | A2023-20 | ▇▇▇ | 연구직(일반▇▇) | 초성능 | 컴퓨팅의 파괴적 ▇▇을 위한 인공지능 프로세서 및 ▇▇컴 퓨팅 ▇▇▇술 | 큐빗 확장 및 고신뢰 ▇▇을 ▇▇하는 ▇▇컴퓨팅 ▇▇ ▇ ▇ | ○ (▇▇▇보과학) 벨부등식 및 비국소성, ▇▇자원이론, ▇▇▇▇ ▇▇ ○ (▇▇컴퓨팅) ▇▇시뮬레이션, ▇▇알고리즘, 결함허용 ▇▇컴퓨팅 ▇▇ | 본원 (▇▇광역시) | 물리학, ▇▇, ▇▇, 전자공 학, 컴퓨터공학 등 ▇▇▇보 및 ▇▇컴퓨팅 ▇▇ 전공 | 1명 |
No. | ▇▇번호 | 구분 | 직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직무▇▇▇▇ | ▇▇지역 | ▇▇ 전공 | ▇▇예▇▇▇ | 비고 |
21 | A2023-21 | ▇▇▇ | 연구직(일반▇▇) | 초연결 | 연결의 ▇▇를 ▇▇하는 ▇▇ 결 입체통신 ▇▇▇▇ | 성능·공간·▇▇ ▇▇ ▇▇을 위 한 6G 이동통신 ▇▇ ▇▇ | ○ (▇▇▇술▇▇) 6G 기반 저궤도 위성 통신 ▇▇ ▇▇ ○ (▇▇▇) 3GPP에서의 셀룰러 기반 저궤도 위성 ▇▇▇ ○ (시뮬레이터 개발) 6G 기반 저궤도 위성 통신 ▇▇ 검증용 시뮬레이터 개발 | 본원 (▇▇광역시) | 전자공학, ▇▇통신공학, 컴 퓨터공학 등 ▇▇ 전공 | 1명 | |
22 | A2023-22 | ▇▇▇ | 연구직(일반▇▇) | 초연결 | 연결의 ▇▇를 ▇▇하는 ▇▇ 결 입체통신 ▇▇▇▇ | 성능·공간·▇▇ ▇▇ ▇▇을 위 한 6G 이동통신 ▇▇ ▇▇ | ○ (반도체▇▇) 초고속/초▇▇▇ 화합물반도체 ▇▇ 설계 및 ▇▇ ▇▇ ▇▇ ○ (반도체▇▇) WBG 전력반도체 ▇▇ 설계 및 제▇▇▇ ▇▇ ▇▇ ○ (▇▇개발) 반도체 ▇▇ 장비 ▇▇ 및 ▇▇ 레시피 개발 | 본원 (▇▇광역시) | 전자공학, 재료공학, 물리학 등 ▇▇ 전공 | 1명 | |
23 | A2023-23 | ▇▇▇ | 연구직(일반▇▇) | 초연결 | 연결의 ▇▇를 ▇▇하는 ▇▇ 결 입체통신 ▇▇▇▇ | 속도‧에너지‧집적도 ▇▇ ▇ ▇을 위한 광통신 ▇▇▇술 ▇ ▇ | ○ (광통신) 초고속 광통신을 위한 광전송 및 광▇▇▇ ▇▇ ▇▇개발 | 본원 (▇▇광역시) | 전자공학, 물리학, 전파공학 등 ▇▇ 전공 | 1명 | |
24 | A2023-24 | ▇▇▇ | 연구직(일반▇▇) | 초연결 | 연결의 ▇▇를 ▇▇하는 ▇▇ 결 입체통신 ▇▇▇▇ | 속도‧에너지‧집적도 ▇▇ ▇ ▇을 위한 광통신 ▇▇▇술 ▇ ▇ | ○ (광집적 ▇▇) 반도체 ▇▇/광검출기 ▇▇ 및 실리콘 포토닉스 설계 ○ (반도체 ▇▇) 화합물반도체 칩 ▇▇ ▇▇ ○ (광▇▇ 분석) 초고속 광통▇▇ 광▇▇ 측정/분석 | 본원 (▇▇광역시) | 물리학, 전자공학 등 ▇▇ 전 공 | 1명 | |
25 | A2023-25 | ▇▇▇ | 연구직(일반▇▇) | 초연결 | 연결의 ▇▇를 ▇▇하는 ▇▇ 결 입체통신 ▇▇▇▇ | 한정된 ▇▇▇자원 및 위성자 원 ▇▇ ▇▇ ▇▇ ▇▇ ▇▇ | ○ 정지궤도/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및 탑재체 ▇▇ ▇▇ ○ 위성통신 안테▇▇▇ ▇▇ ○ 지능형 디지털 ▇▇처리 중계기 ▇▇ ▇▇ ○ 위성간 통신 ▇▇ 등 6G 위성통신 탑재체 ▇▇ ▇▇ ○ 위성통신 탑재체 및 ▇▇단말 핵심 부품 ▇▇ ▇▇ | 본원 (▇▇광역시) | 전자공학, 통신공학, 전파공 학 등 ▇▇ 전공 | 1명 | |
26 | A2023-26 | ▇▇▇ | 연구직(일반▇▇) | 초연결 | 연결의 ▇▇를 ▇▇하는 ▇▇ 결 입체통신 ▇▇▇▇ | 한정된 ▇▇▇자원 및 위성자 원 ▇▇ ▇▇ ▇▇ ▇▇ ▇▇ | ○ (데이터 분석) ▇▇학습 및 시뮬레이션 기반 스펙트럼 데이터 분석 ▇▇ ▇▇ ○ (시뮬레이터 개발) 5G ▇▇▇ ▇▇▇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 (▇▇▇ 공유) ▇▇학습 기반 ▇▇▇파수와 5G ▇▇▇ ▇▇▇술 및 미약 스펙트럼 ▇▇ ▇▇ 개발 | 본원 (▇▇광역시) | 전자공학, 전파공학 등 ▇▇ 전공 | 1명 | |
27 | A2023-27 | ▇▇▇ | 연구직(일반▇▇) | 초연결 | 연결의 ▇▇를 ▇▇하는 ▇▇ 결 입체통신 ▇▇▇▇ | 한정된 ▇▇▇자원 및 위성자 원 ▇▇ ▇▇ ▇▇ ▇▇ ▇▇ | ○ (위성통신) 저궤도 위성통신 모뎀/프로토콜 개발 | 본원 (▇▇광역시) | 전자공학, ▇▇통신공학 등 ▇▇ 전공 | 1명 | |
28 | A2023-28 | ▇▇▇ | 연구직(일반▇▇) | 초연결 | 연결의 ▇▇를 ▇▇하는 ▇▇ 결 입체통신 ▇▇▇▇ | 한정된 ▇▇▇자원 및 위성자 원 ▇▇ ▇▇ ▇▇ ▇▇ ▇▇ | ○ (이동통신) 세대별 이동통신 네트워크 ▇▇ ▇▇▇▇ ○ (통계/▇▇학습) 이동통신 실▇▇ 측정 데이터분석 및 예측 ▇▇▇▇ ○ (소프트웨어 개발) 이동통신 ▇▇▇ 자원의 ▇▇▇황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본원 (▇▇광역시) | 전자통신 공학, 컴퓨터 공학, 통계학 등 ▇▇ 전공 | 1명 | |
29 | A2023-29 | ▇▇▇ | 연구직(일반▇▇) | 초연결 | 자율적으로 연결, 제어, ▇▇하 는 초연결 지능화 ▇▇ ▇▇ | 인간의 개입을 ▇▇▇하는 자 율형 분산협업지능IoT ▇▇ ▇ ▇ | ○ (자율협업) ▇▇의 에이전트가 자율적으로 협업하여 임무를 ▇▇하는 AI 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모델을 IoT 디바이스에 탑재하여 실 ▇▇ ▇▇를 해결하는 AI 모델 학습 알고리즘 ▇▇ ○ (연합학습) 다양한 ▇▇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에 ▇▇ 연합학습을 통해 일반화된 AI 모델을 만들어, 동적/ 비결정적인 IoT ▇▇에 ▇▇▇게 적응할 수 있는 AI 모델 학습 알고리즘 및 프레임워크 ▇▇ | 본원 (▇▇광역시) | 인공지능, 산업공학, 컴퓨터 공학 등 ▇▇ 전공 | 1명 | |
30 | A2023-30 | ▇▇▇ | 연구직(일반▇▇) | 초연결 | 자율적으로 연결, 제어, ▇▇하 는 초연결 지능화 ▇▇ ▇▇ | 지능서비스 개방형 생태계 활 ▇▇를 위한 초분산 자율 네트 워크 ▇▇ ▇▇ | ○ (자율네트워킹) AI/ML 기반 네트워크 지능화 및 자동화를 통한 자율네트워킹 ▇▇ ▇▇ ○ (분산지능네트워킹) 네트워크-컴퓨팅 융합 분산 AI ▇▇ 최적화 네트워킹 ▇▇ ▇▇ | 본원 (▇▇광역시) | 컴퓨터공학, ▇▇통신공학, 컴퓨터과학과 등 ▇▇ 전공 | 1명 |
No. | ▇▇번호 | 구분 | 직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직무▇▇▇▇ | ▇▇지역 | ▇▇ 전공 | ▇▇예▇▇▇ | 비고 |
31 | A2023-31 | ▇▇▇ | 연구직(일반▇▇) | 초실감 | ▇▇과 ▇▇의 ▇▇를 허무는 초실감 입체공간▇▇ ▇▇ | 공간 미디어 실현을 위한 초실 감 공간 생성 및 체험 극대화 ▇▇ ▇▇ | ○ (공간▇▇ ▇▇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개발) 공간▇▇ ▇▇을 위한 ▇▇모듈 및 디스플레이 설계/제작, 디바이스 집적 ▇▇ 개발 및 평가 ○ (공간▇▇ ▇▇ 디바이스 ▇▇ 개발) ▇▇▇도 픽셀 ▇▇ 백플레인, ▇▇▇도 프론트플레인 또는 집적 ▇▇ ▇▇ | 본원 (▇▇광역시) | 전자공학, ▇▇(입체▇▇, 광 메타),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 전공 | 1명 | |
32 | A2023-32 | ▇▇▇ | 연구직(일반▇▇) | 초실감 | ▇▇과 ▇▇의 ▇▇를 허무는 초실감 입체공간▇▇ ▇▇ | 압축율과 전송효율 ▇▇▇▇ 을 위한 초대▇▇ 미디어 ▇▇ 화 및 전송 ▇▇ ▇▇ | ○ (초실감 미디어) ▇▇과 ▇▇의 ▇▇를 허무는 초실감 미디어 ▇▇▇술 ▇▇ 및 국제 ▇▇▇ - (AI 기반 ▇▇처리)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처리 ▇▇ 및 알고리즘 개발 - (방송/통신 ▇▇▇ ▇▇) 차세대 방송/통신 융합시스템 물리계층 알고리즘 개발 | 본원 (▇▇광역시) |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등 ▇ ▇ 전공 | 1명 | |
33 | A2023-33 | ▇▇▇ | 연구직(일반▇▇) | 초실감 | 오감·감성 체험이 가능한초실 감 ▇▇작용 ▇▇▇▇ | 현장감을 극대화하는 초실감 콘텐츠 ▇▇사용자-공간 실시 간 ▇▇작용 ▇▇ ▇▇ | ○ (디스플레이) 반사형 ▇▇ 디스플레이 ▇▇ 제작 및 제어 ▇▇ ▇▇ ○ (반사형디스플레이) 전기 화학적 ▇▇ 및 ▇▇ ▇▇/분석 ▇▇ ○ (위장/스텔스) 광대역 지능형(AI) 위장/ 스텔스 ▇▇ ▇▇ 개발 | 본원 (▇▇광역시) | 물리, ▇▇, 재료공학, 금속공 학, 전기, 전자, ▇▇공학, 컴 퓨터, 전산공학, 반도체, 디스 플레이공학 등 ▇▇ 전공 | 1명 | |
34 | A2023-34 | ▇▇▇ | 연구직(일반▇▇) | 초실감 | 오감·감성 체험이 가능한초실 감 ▇▇작용 ▇▇▇▇ | 사용자의 오감·감성에 반응하 고 ▇▇▇이 보장되는 체험을 제공하는 콘텐츠 ▇▇작용 기 술 연구 | ○ (초실감 상호작용) 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허무는 초실감 서비스 실현을 위한 오감·감성 상호작용 기술 연구 | 본원 (대전광역시) |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등 관 련 전공 | 1명 |
No. | 충원번호 | 구분 | 직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직무수행내용 | 근무지역 | 관련 전공 | 채용예정인원 | 비고 |
35 | A2023-35 | 정규직 | 연구직(일반연구) | 국가 지능화 | 지능화 솔루션 기술개발로 제4 차 산업혁명 실현 | 국가 경제‧사회시스템의 지능 화 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 개발 및 미래핵심기술의 선제 적 표준화 | ○ (인공지능 융합기술) 인공지능 핵심 기술(딥러닝, 초거대 AI 시스템, 데이터 등) 기반 타 기술과의 융합 기술 (AI+네트워크, AI+IoT, AI+Cloud 등) 및 인공지능 응용 기술 등에 대한 연구 ○ (국제표준화) 인공지능 융합기술 분야 국제 표준 그룹(ITU-T, ISO/IEC JTC 1, W3C, 3GPP 등) 대응 및 표준 개발 | 본원 (대전광역시) | 컴퓨터공학, 전산학 전공 등 인공지능 관련 전공 | 1명 | |
36 | A2023-36 | 정규직 | 연구직(일반연구) | 국가 지능화 | 지능화 솔루션 기술개발로 제4 차 산업혁명 실현 | 국가 경제‧사회시스템의 지능 화 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 개발 및 미래핵심기술의 선제 적 표준화 | ○ 국가 지능화전략 수립을 위한 지능화 기술 및 시장 분석 ○ 기술의 사회 영향력을 고려한 국가지능화 전략 및 정책 수립 ○ 투자 방향 및 투자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미래 유망기술 발굴 및 대형 신규 R&D 테마 발굴 | 본원 (대전광역시) | 경제학, 경영학, 산업공학, 통 계학, 기술경영, 기술정책 등 관련 전공 | 1명 | |
37 | A2023-37 | 정규직 | 연구직(일반연구) | 국가 지능화 | 지능화 솔루션 기술개발로 제4 차 산업혁명 실현 |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산업 분야별 국가 지능화 융합 솔루 션 개발 | ○ (에너지 빅데이터) 에너지 데이터 유통을 위한 에너지 지식 융합 데이터 저장소 개발 ○ (피드백 기반 서비스) 실증 피드백을 통한 수용가 효과 분석 및 최적 에너지 서비스 기술 연구 ○ (에너지 효율화/데이터 분석)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 사용 패턴 분석을 통한 에너지/비용 최적화 서비스 개발 | 본원 (대전광역시) | 컴퓨터공학, 소프트웨어공 학, 전기/전자 공학, 에너지 공학, 정보통신공학 등 관련 전공 | 1명 | |
38 | A2023-38 | 정규직 | 연구직(일반연구) | 국가 지능화 | 지능화 솔루션 기술개발로 제4 차 산업혁명 실현 |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산업 분야별 국가 지능화 융합 솔루 션 개발 | ○ (데이터분석) 재난/사고/위험 관리를 위하여 생성된 멀티모달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를 도출하는 기법 연구 ○ (위험예측) 재난/사고/위험 환경에서 획득한 멀티모달 데이터를 분석하여 목표 객체와 위험을 감지하는 기법 연구 | 본원 (대전광역시) | 컴퓨터공학, 정보통신, SW공 학 등 관련 전공 | 1명 | |
39 | A2023-39 | 정규직 | 연구직(일반연구) | 국가 지능화 | 지능화 솔루션 기술개발로 제4 차 산업혁명 실현 |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산업 분야별 국가 지능화 융합 솔루 션 개발 | ○ (시뮬레이션 및 데이터 분석) 가상환경에서 제조 현장 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고속/고정밀 시뮬레이션 기술 연구 ○ (인공지능 기반 공정 및 설비 최적화) 가상 환경에서의 고속/고정밀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한 제조 자원 (공정, 설비, 작업자, 라인 등) 최적화 기술 연구 | 본원 (대전광역시) | 컴퓨터공학, 산업공학, 전자 공학, 전산학 등 관련 전공 | 1명 | |
40 | A2023-40 | 정규직 | 연구직(일반연구) | 국가 지능화 | 지능화 솔루션 기술개발로 제4 차 산업혁명 실현 |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산업 분야별 국가 지능화 융합 솔루 션 개발 | ○ (모빌리티 정보) 컴퓨터비전/인공지능 기반 모빌리티 정보 인식/판단 기술 개발 ○ (모빌리티 안전) 컴퓨터비전/인공지능 기반 모빌리티 탑승자 상태 인식/판단 기술 개발 | 대경권연구센터 (대구광역시) |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등 관 련 전공 | 1명 | |
41 | A2023-41 | 정규직 | 연구직(일반연구) | 국가 지능화 | 지능화 솔루션 기술개발로 제4 차 산업혁명 실현 |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산업 분야별 국가 지능화 융합 솔루 션 개발 | ○ (멀티모달 AI) 멀티모달 AI 알고리즘 및 지능화 솔루션 연구 ○ (메타버스) 복합정보 기반 메타버스 상호작용 및 실가상공간 정보 동기화 기술 | 호남권연구센터 (광주광역시) | 컴퓨터공학, 전기공학, 전자 공학, 정보통신공학, 소프트 웨어공학 전공 등 관련 전공 | 1명 | |
42 | A2023-42 | 정규직 | 연구직(일반연구) | 국가 지능화 | 지능화 솔루션 기술개발로 제4 차 산업혁명 실현 |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산업 분야별 국가 지능화 융합 솔루 션 개발 | ○ (동형암호 실용화 기술) ML 및 통계 연산을 동형암호 적용 연산 알고리즘 개발 및 자동 변환 컴파일러 및 응용 SW 기술 연구 ○ (동형암호 특화 SoC용 SDK 기술) 전용 고속 연산 HW B-E(GPU/FPGA/ASIC) 특화 알고리즘 및 라이브러리 개발과 SDK 기술 연구 | 수도권연구센터 (경기도 판교) | 전기, 전자, 컴퓨터, 소프트웨 어, 정보보호 전공 등 관련 전공 | 1명 | 수도권연구센터는 병역미지정업체로, 병역의무 대상자(남성)는 군필자 또는 면제자만 지원 가능 |
43 | A2023-43 | 정규직 | 연구직(일반연구) | 국가 지능화 | 잠재적 사이버 위협을 원천 차 단하는 지능형 사이버 보안 및 신뢰 인프라 기술 연구 | 정교화·자동화 해킹을 원천 차 단하는 지능형 정보보호 핵심 기술 개발 | ○ (무인이동체 보안기술 개발) 드론/UAS 및 UAM 통합보안 솔루션 개발 ○ (암호키 보호 기술 연구) 보안프로토콜 암호 연산 시 암호키 관리 및 보호기술 연구 ○ (KCMVP 및 PQC 암호구현) KCMVP 암호 알고리즘과 PQC 암호 알고리즘의 SW 및 HW 구현 | 본원 (대전광역시) | 정보보호, 전산학, 컴퓨터공 학, 전자공학, 수학 등 관련 전공 | 1명 | |
44 | A2023-44 | 정규직 | 연구직(일반연구) | 국가 지능화 | 잠재적 사이버 위협을 원천 차 단하는 지능형 사이버 보안 및 신뢰 인프라 기술 연구 | 개인의 자율적 데이터 사용권 리를 보장하는 블록체인기반 분산 신뢰 데이터 공유 기술 연구 | ○ 암호공학 기반 프로토콜, 분산 합의, 분산 시스템 등 블록체인 관련 기술 연구 ○ 분산 네트워크 (P2P 네트워크 등) 성능 및 보안 기술 연구 ○ 블록체인 적용 분야 (메타버스, 인공지능 등) 성능 개선, 보안 및 프라이버시 향상 연구 | 본원 (대전광역시) | 전산학, 컴퓨터공학, 전자공 학 등 관련 전공 | 1명 |
O 기술직
No. | 충원번호 | 구분 | 직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직무수행내용 | 근무지역 | 채용예정인원 | 비고 |
1 | D2023-01 | 정규직 | 기술직 | 정보통신 | 정보기술 | 정보보호 | ○ 정보보호 시스템 구축 및 운영·관리 - 정보보호 시스템 구축 및 고도화 계획 수립 - 연구원 정보유출 방지체계 구축·운영 및 고도화 - 정보보호시스템 지속적인 모니터링, 보안관제 대응 및 후속 조치 - 클라우드 보안 관리 및 로그 분석을 통한 대책 수립 - 랜섬웨어 등 최신 사이버 위협 분석 및 대응 방안 수립 ○ 보안사고 및 위협 분석·대응 - 침해사고 및 보안 위협 방지를 위한 기술적 조치 - 침해사고 피해확산 방지를 위한 위협정보 탐지 및 분석 - 침해사고 발생 시 원인 분석, 신속 대응 및 재발 방지 대책 수립 - 신규 보안취약점에 대한 대응 방법 파악 및 후속조치 수행 | 본원 (대전광역시) | 1명 | |
2 | D2023-02 | 정규직 | 기술직 | 국가 지능화 | 지능화 솔루션 기술개발로 제 4차 산업혁명 실현 | 국가 경제‧사회시스템의 지능 화 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 개발 및 미래핵심기술의 선제 적 표준화 | ○ (조사분석) 사업화 대상 연구성과 발굴 및 활용가능 시장 조사·분석 ○ (사업화기획) 연구성과 포트폴리오 구축 및 목표고객군 발굴 등 대형 기술사업화 기획 ○ (성과확산) 국내·외 기술마케팅 수행 및 개방형 협력체계 구축·운영 | 본원 (대전광역시) | 1명 |
O 행정직
No. | 충원번호 | 구분 | 직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직무수행내용 | 근무지역 | 채용예정인원 | 비고 |
1 | E2023-01 | 정규직 | 행정직(경영관리) | 경영관리 | 경영∙회계∙사무 | 기획사무 총무·인사 | [인재개발관리] 조직의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노무관리, HR기획, 인사관리 ○ (인력기획)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HR기획, 인력운영 방안 계획 수립·시행 ○ (인적자원관리) 조직 내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인사이동, 평가, 승진, 건강, 이직관리, 채용인력에 대한 보상(임금) 등의 계획 수립·수행 ○ (인적자원개발)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역량모델링, 교육과정 개발, 운영, 평가 계획 수립·시행 ○ (노무관리) 연구원 노무 관련 법률 검토, 노사관련 소송 대응 및 지원 [경영관리] 조직의 비전과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시행, 제도 개선을 통해 긍정적 조직문화 구축 ○ (제도기획) 조직 프로세스 선진화를 위해 경영전반에 걸친 제도, 제 규정 정비, 대외 유관기관 업무 대응 ○ (경영기획) 조직의 비전, 경영목표, 경영평가, 경영성과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시행, 경영현안 관리 ○ (CS관리) 조직문화·가치 정립, CS전략 추진, 조직 내 청렴문화 확산 ○ (성과홍보) 연구원 홍보계획 수립·홍보 ○ (대외협력) 기관장의 대내·외 업무수행 지원 | 본원 (대전광역시) | 2명 | |
2 | E2023-02 | 정규직 | 행정직(일반행정) | 일반행정 | 경영∙회계∙사무 | 총무∙인사 재무·회계 생산·품질관리 | [운영관리] 연구원의 일반운영 업무, 안전·보안 업무, 시설유지관리, 건설업무 수행 ○ (운영지원) 연구원 문서/인장 운영·관리, 청사/공용차량 운영·관리, 일반/문화 행사, 경조사/식당/ 기숙사/동호회 등 복지시설 운영업무 수행 ○ (안전보안) 연구원 안전 및 일반보안, 비상계획, 예비군 및 민방위 업무 계획·운영 ○ (정보보안) 연구원 정보보안업무 계획 및 운영 ○ (시설관리/건설기획) 연구원 기반시설 운용·유지보수·개선·건설업무 계획 및 운영 [재무관리] 조직의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예산 기획, 소요자금 조달, 운용을 위한 계획·조정·통제 수행 ○ (회계관리) 조직 활동에 따른 회계정보를 기준에 따라 조정, 통제, 결산업무 수행 ○ (구매관리) 경영전략 및 연구사업 계획에 따라 물품별 수급 계획 수립, 구매계약(내자,외자,자체,조달)· 유지보수 수행 ○ (자산관리) 조직의 효율적인 자산 운영을 위해 자산의 등록, 활용, 운영, 관리, 처분 | 본원 (대전광역시) | 2명 | |
3 | E2023-03 | 정규직 | 행정직(R&D관리) | R&D관리 | 사업관리 | 사업관리 | [연구사업관리] 조직의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R&D 전략 수립, 사업 기획 및 관리, 성과확산 ○ (사업기획) 연구원의 전반적인 R&D 전략, 연구사업 발굴·수주계획 수립, 안정예산 확보, 사업기획 총괄, 정부기관 협력업무 및 회의체 운영 수행 ○ (사업조정) 연구개발 수행을 위한 각종 사업관리(평가) 관련 제도와 정책 발굴 및 제시, 사업 수행 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대외 제도 총괄부서와 협력하여 업무 수행 ○ (성과전략) 연구성과 질적수준을 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성과목표를 설정, 성과조사 및 수집, 성과분석, 성과향상 전략 수립, 연구성과 활용추적 및 공유, 대외기관 협력 업무 수행 [연구성과관리] 연구개발 성과에 대하여 권리확보, 분석, 관리, 기술이전, 사업화지원 업무를 수행 ○ (기술사업화지원) 기술사업화 전략을 수립하고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를 지원 ○ (기술창업지원) 대상기술, 창업자(기업) 등을 선정하여 기업 설립을 지원 및 정착을 위한 관리 및 지원 수행 ○ (기술이전) 기술 가치 평가, 기술마케팅·기술이전 협상, 계약, 사후관리 수행 ○ (지식재산관리) 연구성과의 활용가능성 및 보유 필요성이 있는 기술 권리화를 목적으로 지식재산권분석/ 출원/등록/유지/포기 관리 | 본원 (대전광역시) | 1명 | |
4 | E2023-04 | 정규직 | 행정직(R&D관리, 취업 지원(보훈)대상자 제한 경쟁) | 경영관리 | 경영∙회계∙사무 | 기획사무 총무·인사 | [인재개발관리] 조직의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노무관리, HR기획, 인사관리 ○ (인력기획)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HR기획, 인력운영 방안 계획 수립·시행 ○ (인적자원관리) 조직 내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인사이동, 평가, 승진, 건강, 이직관리, 채용인력에 대한 보상(임금) 등의 계획 수립·수행 ○ (인적자원개발)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역량모델링, 교육과정 개발, 운영, 평가 계획 수립·시행 ○ (노무관리) 연구원 노무 관련 법률 검토, 노사관련 소송 대응 및 지원 [경영관리] 조직의 비전과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시행, 제도 개선을 통해 긍정적 조직문화 구축 ○ (제도기획) 조직 프로세스 선진화를 위해 경영전반에 걸친 제도, 제 규정 정비, 대외 유관기관 업무 대응 ○ (경영기획) 조직의 비전, 경영목표, 경영평가, 경영성과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시행, 경영현안 관리 ○ (CS관리) 조직문화·가치 정립, CS전략 추진, 조직 내 청렴문화 확산 ○ (성과홍보) 연구원 홍보계획 수립·홍보 ○ (대외협력) 기관장의 대내·외 업무수행 지원 | 본원 (대전광역시) | 1명 | 취업지원(보훈)대상자 제한경쟁 |
O 실무직(기술실무원)
No. | 충원번호 | 구분 | 직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직무수행내용 | 근무지역 | 채용예정인원 | 비고 |
1 | F2023-01 | 무기계약직 | 실무직(기술실무원) | 국가 지능화 | 지능화 솔루션 기술개발로 제 4차 산업혁명 실현 |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산업 분야별 국가 지능화 융합 솔루 션 개발 | ○ (소자제작) 전자소자 또는 진공소자 제작 공정 수행, 지원(아래 세부항목 중 하나 이상 수행) - 반도체 소자 제작 관련 공정 수행 또는 지원 - CNT 기반 나노전자원 및 디지털 엑스선원 제작 공정 수행 또는 지원 ○ (소자평가) 전자소자 또는 진공소자 특성 평가 수행, 지원(아래 세부항목 중 하나 이상 수행) - 반도체 소자 관련 구동 특성 평가 수행 또는 지원 - 엑스선원 에이징 및 특성 평가 수행 또는 지원 - 엑스선 영상 획득 및 성능 평가 수행 또는 지원 | 본원 (대전광역시) | 1명 | 정규직 (무기계약직) 전환 정원 |
※ 정규직(무기계약직) 전환 정원 직무도 다른 직무와 동일하게 지원요건에 부합하는 모든 응시자 지원 가능
O 실무직(행정실무원)
No. | 충원번호 | 구분 | 직종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직무수행내용 | 근무지역 | 채용예정인원 | 비고 |
1 | G2023-01 | 무기계약직 | 실무직(행정실무원) | 연구행정지원 | 경영∙회계∙사무 | 총무∙인사 재무∙회계 생산∙품질관리 | ○ (연구행정 밀착지원 업무) 연구사업 수행과 관련하여 연구책임자가 수행하는‘연구행정’업무의 밀착지원 - 연구책임자의 제반‘연구행정’업무의 지원 - 연구수행과 관련된 시스템 key-in, 구매/회계처리 등 실무지원 - 연구책임자와 일반행정 사이의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 ○ (연구지원실 지원 업무) 연구사업 수행과 관련하여 연구지원실이 수행하는‘연구행정’업무의 지원 - 연구소 공통업무 보조(문서관리, 구매·자산관리, 출장관리 등) - 연구지원실 업무 보조(행사지원, 회계·구매·자산관리지원, 예산통제 등) ○ (행정부서 지원 업무) 연구원 행정업무 수행과 관련한 ‘일반행정’업무의 지원 - 행정 부서별 고유 업무 지원(각종 데이터 및 시스템 관리, 자료 및 문서 정리, 행사지원 등) - 실 부대 업무 등 | 본원 (대전광역시) | 2명 | |
2 | G2023-02 | 무기계약직 | 실무직(행정실무원) | 연구행정지원 | 경영∙회계∙사무 | 총무∙인사 재무∙회계 생산∙품질관리 | ○ (연구행정 밀착지원 업무) 연구사업 수행과 관련하여 연구책임자가 수행하는‘연구행정’업무의 밀착지원 - 연구책임자의 제반‘연구행정’업무의 지원 - 연구수행과 관련된 시스템 key-in, 구매/회계처리 등 실무지원 - 연구책임자와 일반행정 사이의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 ○ (연구지원실 지원 업무) 연구사업 수행과 관련하여 연구지원실이 수행하는‘연구행정’업무의 지원 - 연구소 공통업무 보조(문서관리, 구매·자산관리, 출장관리 등) - 연구지원실 업무 보조(행사지원, 회계·구매·자산관리지원, 예산통제 등) ○ (행정부서 지원 업무) 연구원 행정업무 수행과 관련한 ‘일반행정’업무의 지원 - 행정 부서별 고유 업무 지원(각종 데이터 및 시스템 관리, 자료 및 문서 정리, 행사지원 등) - 실 부대 업무 등 | 수도권연구센터 (경기도 판교) | 1명 | |
3 | G2023-03 | 무기계약직 | 실무직(행정실무원, 취 업지원(보훈)대상자 제 한경쟁) | 연구행정지원 | 경영∙회계∙사무 | 총무∙인사 재무∙회계 생산∙품질관리 | ○ (연구행정 밀착지원 업무) 연구사업 수행과 관련하여 연구책임자가 수행하는‘연구행정’업무의 밀착지원 - 연구책임자의 제반‘연구행정’업무의 지원 - 연구수행과 관련된 시스템 key-in, 구매/회계처리 등 실무지원 - 연구책임자와 일반행정 사이의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 ○ (연구지원실 지원 업무) 연구사업 수행과 관련하여 연구지원실이 수행하는‘연구행정’업무의 지원 - 연구소 공통업무 보조(문서관리, 구매·자산관리, 출장관리 등) - 연구지원실 업무 보조(행사지원, 회계·구매·자산관리지원, 예산통제 등) ○ (행정부서 지원 업무) 연구원 행정업무 수행과 관련한 ‘일반행정’업무의 지원 - 행정 부서별 고유 업무 지원(각종 데이터 및 시스템 관리, 자료 및 문서 정리, 행사지원 등) - 실 부대 업무 등 | 본원 (대전광역시) | 1명 | 취업지원(보훈)대상자 제한경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