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정 불확실성의 주요 원천 관련 조항 예시
추정 불확실성의 주요 원천. 차기 회계연도 내에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에 중요한 수정사항을 야기할 수 있는 중요한 위 험요소를 가지고 있는 보고기간 말 현재의 미래에 관한 주요 가정 및 기타 추정 불확실성의 주요 원천은 다음과 같습니다.
추정 불확실성의 주요 원천. 1) 영업권 손상 영업권의 손상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은 사용가치의 계산에 기초 하여 결정됩니다. (주석 18 참조)
2) 법인세 연결회사의 과세소득에 대한 법인세는 세법 및 과세당국의 결정을 적용하여 산정되므로 최 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추정 불확실성의 주요 원천. 1)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손상차손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손상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회수가능액은 사용가치의 계산에 기초하여 결정됩니다. 당사는 보험업을 영위하는 종속기업 사용가치 평가에 포함된 계약가치평가 및 조정순자산 평가를 위해 미래현금흐름, 계리적 가정, 경제적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 다.
추정 불확실성의 주요 원천. 차기 회계연도 내에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에 중요한 수정사항을 야기할 수 있는 중요한 위 험요소를 가지고 있는 보고기간 말 현재의 미래에 관한 주요 가정 및 기타 추정불확실성의 주요 원천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제도 연결실체는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채무는 매 보고기간 말 에 보험수리적 평가를 수행하여 계산되며, 이러한 보험수리적 평가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는 할인율, 기대임금상승률, 사망률 등에 대한 가정을 추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퇴직급여제 도는 장기간이라는 성격으로 인하여 이러한 추정에 중요한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당기말 현재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채무는 12,413,231천원(전기말: 11,066,265천원)이며, 세 부사항은 주석 26에서 기술하고 있습니다.
추정 불확실성의 주요 원천